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검시관의 사건노트] 한파가 죽음에 미치는 영향...저체온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특성 등에 대한 논문들을 집필했다. innam1965@police.go.kr (굿바이! 또 만나요! 검시관의 사건 노트’는 이번 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지금까지 사랑해주신 독자 여러분에게 감사드립니다.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생물물리학과 명예교수와 생명공학벤처 클리나텍 연구팀이 뇌 신호만으로 걷고 물건을 집을 수 있는 외골격로봇(엑소스켈레톤)을 개발하고, 팔과 다리를 못 쓰는 사지마비 환자에게 이 로봇을 입혀 움직이게 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내용은 국제학술지 ‘랜싯 신경학’ 12월호에 실렸습니다. doi: 1 ... ...
- 신비한 양자컴퓨터, 영~롱한 샹들리에의 정체는?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명령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비서’가 들어있지. 그런데 실제 인공지능이 안에 들어있는 건 아냐. 단지 사용자의 말을 스마트폰이 인식한 뒤 신호를 빠르게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에 있는 인공지능이 신호를 해석해 다시 빠르게 스마트폰에 보내는 거지. 그래서 인터넷 연결이 끊기면 인공지능 ... ...
- 각성! 범람하는 데이터 제대로 활용하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말했어요. “빅데이터 활용에서 중요한 건 코딩이나 프로그래밍이 아니에요. 더 중요한 건 문제를 정확히 정의하는 거예요. 우리 주변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내가 불편한 게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진단해보세요. 그 문제를 수학적으로 정의하고 여기에서 해결법을 찾아 다시 현실에 대입하는 거예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식물도 움직일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것도 아닌데, 어떻게 햇빛과 물 등의 자극에 반응할 수 있는 걸까요? 먼저 빛에 반응하는 건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호르몬 때문이에요. 대표적인 예가 식물의 뿌리와 줄기의 끝에서 만들어지는 성장 호르몬 ‘옥신’이지요. 옥신이 분비되면 식물의 세포벽은 느슨해지는데, 이때 세포 하나하나의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섞여 있는 미량의 물질에 따라 완전한 고체로 바뀌는 온도는 다르다. 이는 특수한 조건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다. 실제로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얼음도 고체와 액체층이 뒤섞여 있다.그럼 그 액체층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먼저 얼음 속에서 액체층을 찾을 수 있다. 고등학교 ...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각도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는 것이다. 물론 금 나노입자를 본격적으로 활용하게 된 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금 나노입자를 처음으로 합성한 사람은 영국의 화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마이클 패러데이다. 그는 1857년 염화금 용액을 인으로 환원시키는 반응을 통해 최초로 금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데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많았다. 보고된 문제만도 1000여 건, 각 팀에서 알아서 해결한 문제들까지 합치면 수천 건이 넘는다. 한때는 나로호 발사대의 화재방지시스템(FPS· Fire Protection System)이 오작동하는 일도 있었다. 화재방지시스템은 화재나 폭발이 발생하면 가능한 빨리 작동되는 것이 좋은 만큼 컴퓨터가 제어하는 ... ...
- Welcome to 양자컴퓨터 월드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가까운 미래에 양자컴퓨터를 쓸 수 있는 은혜로운 시대가 올까? 빠른 시간 안에 엄청난 데이터를처리하는 양자컴퓨터의 시대는 어떤 모습일까? 상상하기 어렵지만, 이런 ‘양자로운’ 시대가 오면 세상이 어떻게 변할지 상상하는 건 즐거운 일이지. 그런 세상을 함께 살펴보자. ...
- [전지적 수학 시점] 1010! 경우의 수로 최고 점수 얻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지운 줄 수에 10을 곱한 값입니다. 재밌는 건 동시에 여러 줄을 지울수록 점수가 높다는 건데요, 2줄을 동시에 지우면 20(=2×10)점이 아닌 30(=(1+2)×10)점을 줍니다. 즉 n줄을 동시에 지우면 (1+2+…+n)×10점을 얻을 수 있죠. 1010!에 등장하는 블록은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가 길어야 3칸인데요, 결국 ...
이전180181182183184185186187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