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월드컵 유니폼의 충격 고백 “전 플라스틱 조각이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있어요. 여러분의 집에 있는 소파나 쿠션 속에 들어 있는 충전재도 원래는 페트병이었을
가능성
이 높지요. 건물을 따뜻하고 시원하게 유지해 주는 건축단열재나 벽을 아름답게 꾸미는 플라스틱 미관재도 만들고요. 재활용 옷걸이나 플라스틱 계란판도 페트병의 새로운 모습이랍니다.플라스틱은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존재할 뿐, 실체는 증명되지 않은 셈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른 시각에서 웜홀의 존재
가능성
을 바라보기 시작했다. 3차원 공간에 시간을 더하면 4차원이 된다. 전문가들은 우주에는 이보다 더 높은 차원이 존재할지도 모른다고 내다봤다. 영화에서도 마지막 부분에 5차원의 우주가 등장한다. 여기서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많이 뿜어져 나올 텐데, 압력으로 필래가 튕겨나가거나 태양전지판이 먼지로 뒤덮일
가능성
이 있거든요. 도도한 추리, 입맞춤만 하고는 이내 고개를 돌려버리네요.필래는 잠들었지만 저 로제타는 포기할 생각 없습니다. 앞으로 1년간 추리 곁을 지킬 거예요. 추리가 태양으로 다가갈수록 코마가 ... ...
[과학뉴스] 북극곰이 줄고 있다, 정말로!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가까이 감소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특히 연구팀은 새끼 북극곰의 수가 크게 줄었을
가능성
을 제기했다. 2004년에서 2007년 사이에 추적한 북극곰 새끼 80마리 가운데 2마리만이 생존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해빙이 녹으면서 북극곰의 먹이인 물개가 서식지를 잃었고, 물개가 점차 줄어드니 기아에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좋은 시기다. 태양은 11년 주기로 활동성이 변하는데, 올해가 활발한 3~4년 중 마지막일
가능성
이 높다. 다음 시기가 오려면 또 몇 년을 기다려야 한다. 각자 통장의 잔고와 가계부를 한 번 확인해 보자. 그리고 과감하게 비행기 표를 끊어보는 것은 어떨까. 이 글을 쓰고 있는 기자를 덤으로 데려가면 ... ...
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미첼이 빛조차 빠져 나올 수 없는 곳이 있을
가능성
을 제기했다. 처음으로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
을 예상했다. 1796년 프랑스의 수학자 라플라스도 비슷한 의견을 제시했다. 아주 무거운 천체를 압축하면 빛도 탈출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1915년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했다. 블랙홀 ... ...
[hot science] “내가 만만해 보여?” 양자역학의 굴욕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쓰는 마케팅 용어가 됐습니다. 저희 동네에 있는 ‘양자 치료기’ 업체도 마찬가지일
가능성
이 큽니다. 구글로 Quantum Medicine을 검색해 보면 외국에서도 사이비과학으로 분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앞으로 의료와 관련해서 양자나 퀀텀이라는 단어를 보면 조심하는 게 좋습니다. ... ...
[과학뉴스] 민간우주선 ‘스페이스십2’ 시험 비행 중 폭발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고체연료기 때문에 단순히 연료를 바꿔 사고가 났을
가능성
은 적다”며 “기계적 결함일
가능성
이 더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는 버진 갤럭틱이 스페이스십2가 우주여행을 위한 안전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경고를 무시해 왔다고 주장했다.이번 사고로 민간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그건 젖먹이 시기와 관련이 깊다. 어미가 오래 젖을 먹일수록 양질의 아들이 자랄
가능성
이 높기 때문이다. 앞서 말한 린덴포스 교수팀의 조사 결과 실제로 성선택의 강도가 심한 포유류 종일수록 젖을 떼는 시기도 늦어졌다. 포유류는 임신 기간보다 젖 분비기에 훨씬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 ...
[life & tech] 화장품 바르다 나노 중독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베로네시 박사는 자외선 차단제에 들어가는 산화티타늄나노입자가 뇌신경을 손상시킬
가능성
이 있다고 발표했다. 미국 로체스터대 귄터 오베르되스터 교수는 프라이팬 코팅재로 흔히 쓰는 테플론(PTFE) 나노입자를 쥐가 15분 동안 마시게 했더니 4시간 만에 죽었다고 보고했다. 하워드 박사는 2003년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