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455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뭐라 설명할 수 있는 '오글거림'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건 어떻게 설명될까요? 우리 몸의 근육은 기능에 따라 크게 관절의 각도를 줄여 자세를
조절
하는 굽힘근과 자세를 유지하는 폄근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손발이 오그라드는 상황은 굽힘근이 과도하게 수축되는 경우인데요. 팔다리를 굽히고 몸을 움츠린 상태는 추울 때나 두려울 때 ... ...
LG전자, 실내외 자유롭게 이동하는 통합배송로봇 공개
연합뉴스
l
2021.07.13
2021'에서 처음 소개했다고 13일 밝혔다. 바퀴 4개를 갖춘 이 로봇은 바퀴 사이 간격을
조절
하며 지형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최적화한 주행모드로 이동한다. 주행하는 동안 낮은 턱을 만나거나 지면이 다소 불규칙해도 진동을 줄이며 이동할 수 있다. LG전자가 12일부터 3일간 강원도 ... ...
최근 10년새 국내 폭염·열대야 일수 3~4일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2
높인다. 가령 열사병은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며 체온
조절
에 실패해 발생하는 체온
조절
장애다. 땀이 나지 않고 마른 상태에서 열이 올라 체온이 40도 이상까지 상승한다. 무력감과 어지러움, 메슥거림, 구토, 의식장애 등의 증상과 함께 몸 속 장기에 장애를 일으켜 심할 경우 생명까지 앗아갈 수 ... ...
허블 우주망원경 한 달째 가동 중단…금주 초 '고비'
연합뉴스
l
2021.07.12
예비 컴퓨터 가동 등 다양한 복구 시도를 했지만 모두 실패로 끝났다. 이후 SI C&DH 내 전압
조절
장치나 과학 장비에 명령어를 전달하고 수집한 관측 자료를 지구로 전송할 수 있게 준비하는 '명령어 유닛/과학자료 포매터'(CU/SDF) 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 예비장치로 대체할 준비를 해 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경이로운 기하학적 형태를 띠는 꽃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1.07.11
연구팀은 콜리플라워가 꽃잎을 만들어낼 때 다수의 미발달한 꽃잎이 어떤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를 활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과 조사를 수반한 모델링을 결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제기능을 하지 않는 식물 분열 조직으로 인해 마디와 마디 사이가 느리게 성장하는 현상과 개화 관련 ... ...
[주말N수학]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의 세계
수학동아
l
2021.07.10
수수께끼였습니다. 저는 미분방정식을 이용한 수학 모델을 세워 생체시계 속도를
조절
하는 핵심 요소를 찾아냈는데 실제 실험으로도 검증돼 학계의 많은 주목을 받았어요. Q 현재 어떤 연구를 진행 중이신가요? 여러 생명과학 분야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2019년 글로벌 제약회사 ... ...
[랩큐멘터리]난치병 원인 '단백질 수명' 결정하는 신호를 탐색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사실을알아냈다. 이듬해인 2015년에는 포유류 세포에서의 N-말단 아세틸화에 의한 혈압
조절
단백질 분해과정을 최초로 확인하는 등 연이은 성과를 냈다. 김상윤 포스텍 생명과학과 박사과정생 2018년에는 기존의 분자생물학 학설을 뒤짚는 연구도 내놨다. 진핵생물의 세포질에서도 박테리아처럼 ... ...
누구나 멀미 없는 입체영상 만드는 제작 소프트웨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공 연구진은 무엇보다 카메라 위치와 형태를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는 비정형 플렌옵틱 기술을 이용해 촬영의 자유도를 대폭 높였다. 지형근 ETRI 홀로그래픽콘텐츠연구실장은 “비정형 플렌옵틱 기술로 입체 영상을 편집하는 플랫폼까지 개발한 건 처음”이라고 ... ...
연구실 창문, 그냥 유리 아니라 태양전지로 만든 ‘스마트 윈도’였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6
제공 국내 연구진이 햇빛을 받아 전기를 생산하고 동시에 빛의 밝기도 자유자재로
조절
할 수 있는 스마트 창호(smart window)를 개발했다. 유기 태양전지에 필름 형태의 전기변색 소자를 결합해 가볍고 유연하면서도 투과도와 효율을 높인 게 특징이다. 국내에서 무기물 기반의 태양전지를 이용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항체치료제 전성시대 열리나
2021.07.06
담은 논문이 실렸다. 미국의 생명공학회사 제넨테크의 연구자들은 몸의 대사 항상성을
조절
하는 호르몬인 FGF21의 기능을 모방하는 항체를 만들었다. FGF21은 지방세포와 췌장세포, 신경세포의 표면에 있는 수용체인 FGFR1/KLB에 달라붙어 에너지를 소모하고 식욕을 떨어뜨리는 신호를 내보내게 한다.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