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자신
자기
뉴스
"
스스로
"(으)로 총 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로봇이 말하는 당신의 건강은?
2018.07.05
움직이는 DNA 나노 로봇팔 엔조 코페르거 독일 뮌헨공대 연구팀은, DNA가 특정 조건에서
스스로
조립되는 성질을 이용해 25nm 길이의 미세한 로봇팔을 개발, 1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로봇팔 한쪽을 고정시킨 뒤 전기장을 가해 둥글게 회전 운동을 하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컴퓨터를 이용해 통제가 ... ...
반려견과 함께 여행을 떠나요♪♬
2018.07.05
위한 행동이랍니다. 그런데 주변이 너무 덥거나 힘든 운동을 하면 반려견이
스스로
체온을 조절할 수 없을 정도로 체내 온도가 올라가요. 이럴 때 열사병에 걸릴 수 있지요. 더운 날 갑자기 심한 운동을 하면 반려견은 열사병에 걸릴 수 있다. - GIB 제공 열사병에 걸리면 반려견은 입을 벌리고 ... ...
부모의 과잉보호가 아이들 자기관리 능력 낮춘다
2018.07.01
한 마디로 부모가 ‘치고 빠지는(?)’ 역할을 잘 해주면 아이들은 자라면서
스스로
도전적인 상황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이 키워지고 정신적, 육체적 건강 및 건강한 사회 관계, 나아가 학업적 성공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부모 여러분, 감정과 행동을 관리하는 것은 모든 아이들이 배울 필요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운명의 상대'라는 믿음이 클수록 연애 어렵다
2018.06.30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스스로
를 돌보는 게 서툰 이들을 위해 를 썼다. 현재는 UNC 의과대학에서 연구원을 하고 있다 ... ...
자폐 어린이 치료돕는 AI 로봇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8.06.29
ASD) 치료에 로봇을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환자 개개인의 반응과 정서를
스스로
파악해 맞춤형으로 치료하는 로봇 인공지능(AI) 기술이 개발됐다. 오그넨 루도비치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 박사와 이재령 일본 주부대 로봇이공학과 교수 팀은 AI 기술 중 하나인 딥러닝을 활용해 ... ...
[뉴스룸]은퇴 과학자의 경험이 사장되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28
없이 클 것이다. 이런 경험을 전수받지 못한 젊은 과학자는 결국 수없는 시행착오를 통해
스스로
경험을 쌓아야 한다. 이는 연구의 효율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위험을 동반한다. 해외의 경우 은퇴 과학자 활용 프로그램이 적지 않다. 러시아 우주청에선 새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공감은 항상 좋은가?
2018.06.24
놀랍게도 그 하녀는 자신의 죄를 인정하고, 다른 여자도 공범이라며 자백합니다. 본인
스스로
자신이 마녀라고 인정한 것입니다. 마녀 재판은 마을 전체로 확산됩니다. 어떤 사람은 가짜로 발작을 한 뒤 무고한 사람을 지목하는 방법으로 평소 원한을 해결하려고 했죠. 터무니없는 방법이었지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삶이 허무하게 느껴질 때
2018.06.23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스스로
를 돌보는 게 서툰 이들을 위해 를 썼다. 현재는 UNC 의과대학에서 연구원을 하고 있다 ... ...
배터리 필요 없는 ‘스마트 장난감’
과학동아
l
2018.06.22
Chemistry&Engineering)’ 4월 4일자에 발표했다. 이 장난감은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 없이
스스로
전기를 만들어 낸다. 아이들이 흔히 가지고 노는 기존의 고무 오리 장난감. 연구팀은 이런 장난감에 마찰전기 나노발전기를 달았다. - Public domain 제공 연구팀은 고무로 만든 장난감에 마찰전기를 생산하는 ... ...
“메시지 읽으면 스르륵” 저절로 녹아 사라지는 반도체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8.06.21
증거를 남기지 않고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이런 장치에는 ‘일정 시간 뒤에
스스로
파괴되는 반도체 소자’가 필수인데, 최근 국내 연구팀이 이 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윤진수, 한정민 국민대 전자공학부 연구원팀은 물에 잘 녹는 특성을 지닌 플라스틱(폴리비닐알코올)을 3차원(3D)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