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3,99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도성 고분자로 플렉서블 투명전극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보여주고 있다. 생산기술연구원 제공. 스마트폰의 터치패널이나 IT기기 디스플레이에는
빛
을 그대로 투과시키면서 전기를 잘 통하게 하는 투명전극이 들어간다. 핵심부품인 투명전극의 소재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이 가장 널리 쓰인다. 이 소재는 전기 전도도가 높지만 휘거나 굽혔을 때 쉽게 ... ...
항체 잡는 '
빛
스위치'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수 있는 항체 의약품 개발에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비슷하게
빛
대신 라파마이신이라는 화학물질을 가하면 GFP 나노바디가 합쳐져 활성화되는 ‘케모바디’ 기술도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소드’ 15일자에 발표됐다. ... ...
철새의 야간 이동, 단백질 변이 덕분?
과학동아
l
2019.10.15
서던메소디스트대 화학과 교수는 “(CRY4 단백질에) 변이가 생긴 철새들은 적은 양의
빛
으로도 충분히 방향을 찾을 수 있다”며 “이동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doi: 10.1073/pnas.190787511 ... ...
"주인이 너무 미워요" 슬프고 웃긴 불독
팝뉴스
l
2019.10.15
넓은 이마를 갖게 되었다. 자칫하면 대머리로 오해받을 정도로 이마가 넓다. 또 오렌지
빛
화려한 머리카락도 생겼다. 아울러 귀족풍의 드레스도 눈길을 끈다. 사진은 미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인기가 높은데, 많은 네티즌들은 불독이 아주 슬픈 표정이라는 데 주목한다. 좌절감에 찌든 듯한 ... ...
韓-美 첫 코로나 관측 성공..."우리의 실력 NASA에 각인시켰죠"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한국은 태양 관측에 필수 영상 장비인 편광카메라 전하결합소자(CCD)와 여러 파장의
빛
을 관측하기 위한 필터, 필터에 연결하는 부품인 휠, 제어 및 운영·비행·관측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맡았다. 소프트웨어 개발을 담당한 최성환 천문연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은 “외국에서 구입하면 10배 ... ...
지구 충돌 막아라… 적외선 망원경으로 소행성 감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없다.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은 “작은 소행성이더라도
빛
반사도가 높으면 밝게 보여 포착하기가 쉽지만 탄소질 소행성의 경우 크기가 커도 어둡게 보여 포착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최근 NASA가 약 15년 동안 추진하지 못했던 적외선 망원경 ... ...
우주 탄생부터 일상의 혁신까지… 인류의 미래 밝힐 위대한 발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암흑물질 및 암흑에너지 연구에 공헌했다는 것이다. 피블스 교수의 또 다른 업적은
빛
으로 수백만∼수천만 년 가야 하는 거리에 걸친 우주거대구조 연구를 설계했다는 점이다. 송 책임연구원은 “우주의 시초에는 주변과 밀도가 10만분의 1 정도 차이가 나는 작은 비균질 상태가 존재했다”며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시선속도 측정은 초속 1km를 겨우 구분할 수 있는 정확도를 보이고 있었다. 프리즘처럼
빛
을 다양한 파장으로 나눠주는 분광기(分光器)라는 장비가 시선속도 측정의 핵심이었고, 이 분광기를 개선해 시선속도의 정확도를 올리기 위한 치열한 노력이 반세기 동안 천문학자들 사이에서 진행됐다. ... ...
오른손-왼손 대칭 같은 괴짜물질 광학이성질체 쉽고 빠르게 분석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심지어 독성을 보이기까지 해 구분이 필수다. 광학이성질체는
빛
을 통과시켰을 때
빛
이 편광되는 현상인 ‘광학활성’의 방향을 통해 구분할 수 있다. 광학활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가 주로 쓰인다. 일본이 세계 시장의 50%를 차지하고 있는 분야다. HPLC는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우주 구조 연구의 설계자, 제임스 피블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있는 은하 등 천체의 기초가 된 우주물질이 됐다. 이 물질이 이루는 거대구조의 규모는
빛
이 수백만 혹은 수천만 년을 가야 하는 거리만큼 크다. 또 밀도의 차이는 있지만 눈에 보이는 천체 현상도 아니다. 피블스가 연구할 1970년 당시 아무도 이 주제에 주목하지 않았던 이유다. 하지만 피블스는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