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힘"(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신학기가 시작되기에 앞서 진행되는 예비학교 기간을 말해요. 친구들끼리 조를 이루고 힘을 합쳐 마치 미로 같은 학교의 시설물들을 이동하며 미션을 수행해야 하지요.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과학지식과 강한 체력은 필수예요. 시원이는 기숙사 친구들과 팀을 이뤄 예비학교에 ... ...
- [Editor’s Note] 딴소리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훨씬 심심했을 것이다. 이 기자는 이번 호에서 특히 종횡무진 활약하며 초인적인 힘을 보여줬다.최영준 기자는 멋진 기획 기사를 썼는데 아쉽게도 지면 사정상 다음 호로 게재가 미뤄졌다. 사회의 아픔을 만져주는 좋은 기사다. 꼭 다음 호를 기대하시라. 최 기자는 정기구독자에게 제공하는 ‘ ...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룬 20세기 중반. 자연 선택이 개체의 수준에서 일어난다는 개체 선택설은 어떻게 다시 힘을 얻었을까. ‘다윈 이후 가장 위대한 다윈주의자’라고 불린 윌리엄 해밀턴의 등장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다.뭔가에 몰두하면 다른 것엔 아예 신경을 꺼버리는 이들이 있다. 장점이자 단점이겠지만, 주변 ... ...
- 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플라스마 내부 입자들의 자체 움 직임에 의해서도 국소적인 전자기장이 발생 한다. 이 힘에 의해 플라스마는 기체 분자와 다른 거동을 보인다. 예를 들어 어떤 부분에 국부적으로 양전하가 모여 있다고 하면, 그 부분의 전기장이 일시적으로 양의 값으로 증가해 전자들이 끌려오기 시작한다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걸린다. 코쇠1과 너의 시간이 다르게 흐르기 시작할 거야. 한 번 시작하면 돌이키기 힘든 과정이란다. 이건 아주 중요한 결정이야. 지금부터 잘 생각해 보고….”“가겠어요.”소금이 그의 말을 잘랐다. 그가 입을 뻐끔거렸다.“소금아, 잘 생각해 보고.”“생각했어요.”“가족과도 얘기해 보아야 ... ...
- Intro. 100년만에 증명된 아인슈타인의 예언 중력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기자들 앞에 선 데이비드 라이츠 교수(캘리포니아 공대)는 한 단어 한 단어에 힘을 주며 중력파 검출을 선언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6년 중력파의 존재를 예측한 지 꼭 100년 만이었다. 일반상대성이론이 예측한 현상 중에서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숙제가 풀리는 역사적인 순간이었다.미국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자고 있는 아메리카흑곰(Ursusamericanus ) 6마리를 찾아내 동면 초기와 후기에 각각 근육의 힘과 피로 저항도 등을 측정했다.그 결과, 곰은 동면한 지 110일 만에 근력의 약 29%를 잃었다. 누워만 있었으니 당연한 거 아니냐고? 동면하지 않는 동물, 예컨대 인간이 이렇게 지낸다면 어떻게 될까. 다른 연구를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모조리 날리고 새 우주를 만들어야 하냐고.그렇지만, 내 주장도 이번만큼은 못지 않게 힘을 얻고 있다. 내 쪽 무리는 이렇게 생각한다. 아마도 지금 빛의 속도가 이와 같이 아주 빠르지는 않지만 아주 느리지도 않은 것은, 먼 옛날 우리와 비슷한 생각을 한 무리들이 새로 우주를 시작시키면서 빛의 ...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알 수 없다”며 “그 모든 계산을 다 해보기 전까진 새로운 행성이 있다고 말하기 힘들다”고 했다.운 좋게 이 가정이 맞아서 행성 X가 예측한 궤도에 있다고 해도, 관측으로 찾는 과정은 해왕성 때와 비교할 수도 없이 어렵다. 최 책임연구원은 ‘위치’와 ‘궤도’의 차이는 어마어마하다고 말했다. ... ...
- [Tech & Fun] 믿는 도끼를 잔뜩 고른 나무꾼은…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점이다. 처음에는 열린 마음으로 시작하지만 관계가 진행될수록 부정적인 정보들의 힘이 훨씬 커진다. 관계 초기를 지나면 조금만 부정적인 증거가 나와도 상대를 가차 없이 평가절하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대인신뢰 형성 과정은 일단 믿을 만한 도끼를 잔뜩 고른 뒤에, 도끼의 부정적인 면을 유심히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