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현지
장식띠
지점
작업장
공사장
곳
d라이브러리
"
현장
"(으)로 총 2,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체음향시스템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되는 이런 경험은 입체음향기술의 승리를 잘 대변한다. 마치 사건이 눈 앞에서 벌어진 듯
현장
감 넘치는 소리를 전해주는 입체 음향기술의 원리를 알아본다입체음향의 진화초창기 영화는 트랙이 한 개뿐인 마그네틱 테이프에 소리를 녹음했다. 따라서 재생할 때도 스피커 한 대만이 필요했다. 만일 ... ...
4. 리듬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않다. 악보를 봐도 베토벤과 똑같이 연주할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실제로 무용교육
현장
에서는 무보를 그다지 많이 활용하고 있지 않다고 한다. 아직도 춤은 대부분 몸에서 몸으로 전수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무용이론가인 최해리 월간 ‘몸’ 편집장은 “춤에는 테크닉뿐 아니라 추는 사람 특유의 ... ...
한국 과학자들이 칭기즈칸 일족의 비밀 벗긴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제쳐두고
현장
으로 달려갔다. 조사단은 울란바토르에서 출발해 3박4일간 유적지
현장
을 직접 확인하기도 했다. 가는 데만 자동차로 꼬박 하루가 걸리는 고단한 여정이었지만 모두 즐거운 표정이었다.‘송골매는 족장 문양’ 문제 제기도이번에 한국조사단은 몽골국립대에 보관 중인 유물 전체를 ... ...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만족한다고 대답했지만 높은 사회적 지위를 누리지는 못한다고 생각하고 있다.이공계
현장
에서도 남녀차별의 문제가 대두됐다. 이공계에서 남녀차별을 어느 정도 느끼는지 묻는 질문에서 응답자의 78.5%가 남녀차별이 있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남녀 응답자 모두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 ...
그섬에가고싶다 카나리아 제도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한꺼번에 볼 수 있어 최고의 크루즈 여행지이자 생명 진화의 진행형을 엿볼 수 있는
현장
이기도 하다.화산가스가 대지를 수놓다폭발 당시 분출된 화산가스는 용암을 물들이며 바위 곳곳을 푸르고 노란띠로 수 놓았다. 란자로(Lanzarote)섬은 카나리아 제도의 동쪽 끝에 있다.오랜 화산 활동은 섬의 ... ...
02. 이공계 진로지도 해법은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어떤 활동에 가치를 두는지, 어떤 직업에 적합한지 등에 관한 정보를 제시한다. 크게
현장
형,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진취형, 사무형의 6가지로 직업을 분류한다. 검사 후 개인별 결과표를 참고하면 자신의 적성에 맞는 분야에서 선택 가능한 직업들이 제시돼 있다. 진취형인 경우 대중연설, ... ...
1. 이보다 무서울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달아나버린다. 그 후 남자가 찍는 사진에 귀신의 모습이 담기기 시작한다. 놀랍게도 그
현장
에는 어떤 사고도 보고되지 않았다. - 셔터장근영 박사는 최근 개봉한 ‘셔터’를 두 가지 면에서 전형적인 동양적 공포영화로 꼽는다. ‘셔터’를 비롯한 동양 공포영화 속 귀신은 대부분 누군가의 ... ...
1. 꿈틀거리며 잠깨는 공룡화석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전남대 한국공룡연구센터 허민 교수와 발굴팀을 따라 전라남도 일대의 공룡 화석 발굴
현장
을 찾았다.해안가 전체가 공룡알 밭한국공룡연구센터 이대길 연구원이 망치와 붓을 이용해 조심스레 흙을 치워나가자 붉은색 퇴적암 속에서 검은 형체가 나타났다. “처음 공룡알 화석을 본 순간 흥분이 온 ... ...
하늘의 모든 것에 도전한다 EADS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각종 전자장비가 눈에 띈다. 독일 프리드리히스하펜에 있는 아스트리움의 위성 개발
현장
이다. EADS 아스트리움의 에카르트 제텔마이어 박사는 “전천후 지구 관측 위성 ‘테라SAR-X’를 개발 중”이라며 “위성에 장착될 ‘합성 개구 레이더’(SAR) 덕분에 어두운 밤이건, 구름이 끼건 지구 촬영이 ... ...
우주에 아리랑 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불린다. 지난해 동남아시아에서 지진해일 쓰나미(tsunami)가 발생했을 때 전 세계에 참사
현장
을 있는 그대로 확인시켜준 것은 미국 디지털글로브사의 ‘퀵버드’(QuickBird) 위성이었다. 아리랑 2호가 성공적으로 운영되면 우리도 퀵버드에 버금가는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첨단 기술로 우주에서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