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
을 나는 자동차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도로 주행에서는 아무 문제가 없었으며, 2월에 시험비행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어요.
하늘
을 나는 최초의 자동차가 실제로 나오게 될지 2월이 기대되네요 ... ...
하와이 밤
하늘
휘감은 은하수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2009년 UN이 정한 ‘세계 천문의 해’를 맞아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유적과 명소, 그리고 아름다운 자연을 배경으로 밤
하늘
별이 어우러진 모습을 전시하는 ‘지구의 ... 은하수가 병풍처럼 펼쳐졌다.우리 은하의 중심부를 마주한 당신. 무엇을 느끼는가. 하와이 밤
하늘
휘감은 은하수 pdf ... ...
이 시대의 교양인을 위한 생생 물리학 강의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전부를 책에 담았다. 별들의 밝기 차이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치 밤
하늘
을 옮겨 놓은 듯 아름다운 사진이 인상적이다.이와 함께 별자리와 관련된 신화, 천문학 지식도 전한다.노벨상을 꿈꾸는 과학자들의 비밀노트한국과학재단 엮음|중앙에듀북스|260쪽|1만 900원우리는 흔히 ... ...
소행성이 혜성으로 변신한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수 있으며 약 8%는 2016년 이후에도 찾기 어렵다.그렇다면 해결책은? 문 박사는 “황도(
하늘
에 투영된 지구공전궤도) 근처를 집중 관측할 뿐 아니라 지금보다 구경이 큰 전용 망원경을 동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현재 미 공군은 하와이 마우나케아에서 구경 1.8m의 펜스타즈망원경을 NEO 탐사전용으로 ... ...
[물리]빛과 마찰의 두얼굴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저항력은 속도가 느릴땐 속도에 비례하다가 속도가 빨라지면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하늘
높은 곳에서 빗방울이 떨어지는 당시에는 빗방울의 속도가 매우 느려서 공기의 저항력이 작지만 낙하하면서 점점 속도가 빨라지면 저항력도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크게 증가한다. 공기의 저항력이 점점 ... ...
Vertical Farming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요소인 것이다. 이제 수직재배농법이 더 이상 옛날이야기인‘재크와 콩나무’에 나오는
하늘
로 높이 자라는 마법콩처럼 보이지 않을 것이다. 발센트(Valcent)사의 사장인 글렌 커츠는 “수직재배 농법은 식용작물을 좁은 공간에서 지속적으로 재배할 수 있게 한다”고 말한다. 발 센트는 텍사스주 ... ...
도시를 통째로 옮겨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한옥마을에 그대로 복원됐다. 내가 살 집을 쇼핑한다심시티 게임에서처럼 집 한 채가
하늘
에서 ‘뚝’ 떨어지는 건 아니지만 리사이클링시티에서는 기존 주택건축 기간(약 100일)의 절반 정도면 주택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공장에서 유닛을 생산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50일, 유닛을 옮겨 주택을 ... ...
지구의 끝, 남극으로 떠난 산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숨어 있다가 어미를 잃은 아기펭귄을 노려, 매서운 부리로 낚아채 먹어요. 고개를 들면
하늘
을 가르는 남극제비갈매기를 볼 수 있어요. 남극에서 여름을 보낸 뒤 겨울이 되면 좀더 따뜻한 지방으로 날아가요. 아름다운 겉모습과 달리 성격이 불같아서 서식지를 지나갈 때는 한바탕 난리가 나지요 ... ...
물을 자급하는 도시를 건설하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15%를 채우고 있다. 빗물도 자원이다내부의 물로 자급하는 우주선과 달리 도시에는
하늘
에서 물이 떨어진다. 빗물이다. 빗물을 수자원으로 활용하면 부족한 상수 공급량을 보충할 수 있다. 지난 2월 환경부는 새로 짓는 공공건물에 빗물 이용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는 ‘물 재이용법’을 ... ...
소백산천문대에서 펼쳐진 2박 3일 상상력의 향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유 작가의 이야기에 도움이 될 만한 실제 연구 분야를 소개했다. 우주에서는 실제로 밤
하늘
전체가 번쩍일 정도의 에너지를 방출하는 감마선폭발이라는 현상이 하루 한 번꼴로 일어나며, 이 폭발의 정체를 밝히는 일이 현대 천문학의 큰 과제 가운데 하나라는 설명이었다.또 달의 표면에서도 때때로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