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충분히 진행되지 못했고, 로봇을 움직이게 하는 기본적인 센서의 성능조차 떨어지는
편
”이라며 “로봇공학은미지의 영역을 개척하는 분야인 만큼 다양한 협력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셋, 로봇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유범재 Vs 커즈와일▶유범재 박사는 “15년 전 과학자들은 두발로 ... ...
“창의적인 글로벌 리더 키우겠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건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 1~2학년 재학생을 보면 잘 적응하고 있으며 만족도도 높은
편
이다. 공인 영어 성적은 전형 요소에서 제외시켰다. 고교과정을 충실히 학습한 학생이라면Pre-UNISTAR 프로그램과 기초과정부의 수업을 통해 충분히 영어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
PART 1 수학으로 본 우리 유산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5cm로 불상의 높이와 1:3의 비율을 나타내. 신라 시대의 다른 불상과 비교하면 머리가 작은
편
에 속해. 하지만 머리카락 부분을 줄여 다른 불상보다 얼굴은 크게 만들었어. 이게 바로 석굴암 본존불상의 특징이야. 불상의 얼굴을 크게 만들어서 자비와 위엄이 석굴암 전체를 가득 채우도록 했지.불상이 ... ...
나의 경험이 세상을 설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공간이 곧 제품과 서비스가 되기 때문에 주로 시각과 촉각, 청각 디자인에 집중되는
편
이다.로봇도 연구 대상이다. 디자인이라고 해서 로봇의 생김새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KAIST 산업디자인학과의 김명석 교수는 “외형은 전체 프로세스에서 30%에 불과하다”며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서 미래 ... ...
백두산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칼데라에 담긴 물과 만날지 또는 지면 밖으로 나올 것인지에 대해서 말이다. 현재 단
편
적인 자료만으로 백두산의 앞날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직 섣부르다.백두산이 분출하면 화산재 기둥이 대기 중으로 솟구칠 것이다. 탁월풍(일정한 지역에서 거의 일정한 방향으로 부는 바람)을 따라 이동하다가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경우가 있으므로 이산화탄소를 첨가한 물에 돌을 하루 정도 담근 뒤 경도를 측정해 보는
편
이 좋다.수초와 열대어, 미생물의 조화조명을 받아 밝은 녹색으로 빛나는 수초는 아름답다. 그렇지만 수초만 감상하고 있자면 왠지 심심한 느낌을 떨칠 수가 없다. 물속 풍경은 물고기가 있어야 비로소 ... ...
첨단 과학 이끄는 대형 연구단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독립 연구기관이다.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갈 로봇산업에서 선도 역할을 하고 있다.한
편
세계 최고의 기초과학연구소인 독일의 막스플랑크 연구소가 포스텍에 들어올 예정이다. 막스플랑크 연구소는 독일의 물리학자 막스 플랑크의 이름을 딴 기초연구기관으로 80여 개의 하위 연구 기관으로 ... ...
우리에게 빛은 생명일까, 공해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공모전’ 수상작들을 전시하고 있다. 우리에게 생명을 주고, 삶을
편
리하게 하는 빛이 한
편
으로는 공해가 되고 있다. 세상의 시작이자 자연을 키우는 어머니인 빛이 언제부터, 어떻게 동식물과 사람의 삶을 괴롭히는 존재가 돼버렸을까.동식물 먹여 살리는 태양의 ‘이유식’지구에서 아침마다 해가 ... ...
이제는 우측보행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보행이 같은 방향일 때가 다른 방향일 때보다 더 적었다.“물론 단기적으로는 혼란과 불
편
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학습’의 힘은 대단합니다. 특히 이번 경우처럼 바뀐 경우가 우리 심신에 더 자연스러울 경우 금방 적응을 하지요.”내년 이맘쯤이면 ‘우리가 언제 좌측보행을 ... ...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징크스 타파, 최초로 우승을 경험한 팀의 탄생 등 의의가 많은 대회였다. 그러나 한
편
으로는 ‘오심 월드컵’이라는 오명을 뒤집어 쓴 대회이기도 했다. 심판의 실수로 손해를 보거나 심지어는이길 수 있는 경기를 놓친 팀의 억울한 사연은 세계인의 축구 축제를 얼룩지게 했다. 월드컵마다 끊이지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