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과거
태고
예전
옛적
d라이브러리
"
지난날
"(으)로 총 2,242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년 풍(風) 만년 빙(氷)의 나라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그래서 추억도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렵다. 하지만 평생 한 길을 달려왔다고 선뜻
지난날
을 소개하는 것이 왠지 어렵게 느껴진다.잠시 과기처 생물해양연구조정관을 지낸 적이 있다. 그로 인해 1991년 세종기지를 방문했다. 바람과 얼음, 크릴세우와 펭귄으로 대표되는 4바다의 남극. 신비에 싸여있는 ... ...
수학 마무리 특강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오는 11월 13일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지는 날이다. 4백점 중 80점에 해당하는 수학은 당연 부담이 큰 과목이다. 어떻게 하면 점수를 올릴 수 있을까. 수학공부원리와 그 비법을 공개한다.표현력 문제가 늘어날 전망올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이제 50여일앞으로 다가왔다. 지금까지 실시됏던 시험에 ... ...
손쉬운 개미 관찰법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개미는 전 세계에 무려 9천5백여종이 분포하고 있으나 이들은 모두 한 과(Family Formicidae, 개미과)에 속한다. 원광대학교 김병진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모두 1백3종의 개미들이 살고 있다. 조그마한 나라로선 적지 않은 숫자다. 영국 섬 전체나 그리 작지 않은 북극의 핀랜드가 고작 40여종 ... ...
타이태닉호 침몰 그 이후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지난 1912년 미국 뉴욕을 향해 처녀항해에 나선 타이태닉호는 대서양 한가운데서 빙하와 충돌. 엄청난 인명과 함께 바닷속으로 빠지고 말았다. 이후 70여년이 지난 1985년 9월1일 로버트 발라드 박사가 이끈 프랑스-미국 연합 탐험대는 캐나다 뉴펀들랜드에서 5백31km 떨어진 곳의 수심 3천8백10m에서 이 ... ...
삐뚤어진 바퀴라야 바로 간다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지난 두달간 본 란에 타이어와 휠에 대한 설명이 나가자 독자들로부터 적지 않은 반응이 있었다. 차가 좀 이상하다 싶으면 알지도 못하면서 보닛부터 열던 독자들이 바퀴(타이어와 휠)의 중요성을 실감했다는 것이다. 이번 달에는 그 완결편으로 바퀴 정렬에 대해 살펴본다.타이어와 휠의 균형이 잡 ... ...
1. 인간을 이해하고 인간에 봉사하는 컴퓨터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우리가 알고 있는 지금까지의 컴퓨터는 모든 사용법을 기계에 맞춰야 했다. 그러나 앞으로 등장할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컴퓨터는 기계가 사람의 음성, 표정, 제스처를 읽어내 스스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한다.통신기기회사인 퍼콤사 김 이사의 아침은 지능 침대의 감미로운 모닝콜로 시작된다. 날이 ... ...
1. 피라미드가 에너지를 모은다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레이스트래크 밸리에는 거대한 바위들이 편평한 평야에 박혀 있다. 그런데 이들은 어떤 인위적인 힘이 외부에서 가해지지 않아도 바닥에 깊은 자국을 내며 미끄러지면서 스스로 움직인다. 무게가 무려 0.5t이나 되는 돌도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돌이 움직이는 방향이 제각기라 ... ...
마라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42.195km를 쉬지 않고 달려야 하는 마라톤은 선수들에게 엄청난 체력과 정신력을 동시에 요하는 격한 경기다.지난 1936년 베를린올림픽에서 신기록을 세우며 월계관을 차지한 손기정 선수의 기록은 2시간29분19초2. 또한 1960년 로마올림픽에 이어 64년 도쿄올림픽까지 마라톤 2연패를 이룬 아베베(에티 ... ...
불면증 치료에서 항암제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해외 여행자들을 괴롭히는 시차증과 함께 정력강화와 노화방지에도 효험이 있다고 선전되는 멜라토닌. 그러나 현재까지 불면증 치료 외에는 입증된 사례가 많지 않다.지난 수년 간 미국과 유럽에서 멜라토닌이 시차증을 줄이고 수면을 촉진시킨다는 광고가 매스컴에 자주 등장했다. 이에 발맞춰 ... ...
수증기 먹고 자라는 거대에너지 태풍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태풍이 제일 많이 찾아오는 8월이다. 생성원리에서 효과까지 태풍의 생리를 이모저모 살펴보자.1. 왜 여름에 많이 발생할까 - 한곳에 뭉친 열에너지 흩뜨린다 해마다 여름이면 열대 지방에 막대한 열에너지가 축적된다. 지구는 한 곳에 모인 이 에너지를 주체하지 못해 신속히 고위도 지방으로 분산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