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초
플라워
조화
생화
플라우어
flower
d라이브러리
"
꽃
"(으)로 총 1,986건 검색되었습니다.
모헨조다로와 하라파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하라파로 가는 길가에는 푸른 들판이 끝없이 전개돼 있다. 이 들녘에는 유채
꽃
밭과 귤밭이 펼쳐져 있고 한 폭의 그림같은 마을들이 한가로이 누워 있다. 이 곳의 기후는 12월에서 2월 중순까지의 겨울철이 지나면 금세 혹서의 계절이 된다. 보통 45℃를 오르내리는 지독한 더위가 시작되는 것이다 ... ...
PARTⅢ 지열발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이용한 특용작물이나 야채,
꽃
등의 온상재배는 매우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야체나
꽃
의 성장에 적당한 온도는 15-30℃ 범위이므로, 온상재배는 고온-중온-저온의 지열자원을 일련의 이용체계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소위 폭포식 이용방식(cascading uses)중 저온의 온도범위에서, 양어와 더불어 활용된다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펭귄 두 종류가 살고있으며 자이언트페트렐 바다제비 갈매기 등도 서식한다. 남극에서
꽃
피는 식물 2종 가운데 하나인 남극잔디도 발견됐다.7월초에는 기지앞바다에 두께 60㎝의 얼음이 얼었다. 이 얼음은 9월하순 폭풍으로 깨어져 나갈 때까지 온통 바다를 덮었다. 이때를 이용해 연구원들은 얼음에 ... ...
반도체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양산에 들어가 세계최강 일본을 불과 6개월 차이로 추격하고 있다. 80년대 후반 활짝
꽃
피운 우리 반도체산업은 컴퓨터 통신 가전분야 등 모든 하이테크산업에 밑거름이 됐다는 점에서 더 큰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한국 반도체산업의 역사는 60년대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페어차일드 ... ...
만주지역의 발해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크고 당시의 불교예술이 얼마나 성했는가를 짐작케 한다. 또 와당(瓦當)에 새겨진 연
꽃
무늬는 고구려의 영향을 짙게 나타내고 있다.발해왕국의 문화는 고구려문화의 전통을 이어받아 거기에 다시 당의 문화를 섭취하여 생활에 알맞게 발전시켜 갔던 것이다.'발해국은 중국역사상 당나라시대의 ... ...
연구활동에 컴퓨터는 필수도구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더욱 진전시켰다. 시뮬레이션에는 점차 빠른 컴퓨터가 이용됐고 80년대에 들어 이 분야는
꽃
을 피우게 된다. 쿼크의 한정성을 밝혀내기도컴퓨터는 불가능한 실험에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불충분한 이론을 도와주기도 한다.70년대 이론물리학의 난제중의 하나는 '쿼크'(quark)의 한정성을 설명하는 ... ...
80년대의 한국 과학·기술 양과 질에서 눈부신 변화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20%를 차지하게 되었고 컬러텔레비전은 세계생산고의 14% 그리고 가전제품의
꽃
인 VTR은 10%를 생산하여 일본에 이어 세계 제2위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의 가전제품공장은 미국을 비롯하여 영국 스페인 터키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로 진출하고 있으며 1990년대 초에는 중국과 헝가리에서도 ... ...
거친 환경에 적응한 4백여종 한국의 고산식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식물체 전체에 흰솜털이 있으며 잎 뒷면이 회백색을 띠는 식물로서 여름철에 백색의
꽃
을 피운다. 그러나 솜다리는 많은 상인들이나 몰지각한 등산객들에 남획되어 설악산 부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으로, 한라산에 자라는 암매와 함께 철저한 보호가 요망되는 식물이다.고산식물은 극히 ... ...
대학이냐? 학과냐? "비인기학과에 도전하세요"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데, 의견을 달리 할 사람은 별로 없을 것입니다. 3류대학일지라도 수석졸업하면 인생이
꽃
피고, 1류대학 출신이라도 학점이 나쁘면 결코 대접을 받지 못해요.그런데 닭머리가 되는 것을 방해하는 괴물이 있어요. 점수대에 맞춰 대학이나 학과를 결정하게 하는 세태가 바로 괴물이지요.각종 ... ...
천적 내가 살기에 남을 죽인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번데기로 되고 번데기는 고치속에서 배추벌레고치벌로 우화하여 고치를 탈출하여
꽃
을 찾아 흡밀(吸蜜)한다. 암컷은 십자화과 식물을 찾아 배추벌레의 몸에 산란 하기 위한 탐색활동을 하고 수컷은 교미상대의 암컷을 찾는다. 이들 기생벌이 배추벌레를 기주(寄主)로 하는 경우 이와 같은 생활사는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