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상
추억
추상
회포
회고
환기
이지
d라이브러리
"
기억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효소라는 ‘핑킹가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있었는데, 한 친구가 색종이를 단숨에 지그재그 모양으로 자르는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란
기억
이 있다. 지그재그 모양으로 자르기 위해서는 꽤나 섬세한 가위질이 필요한데,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친구 녀석의 손놀림이 놀라울 따름이었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친구의 비밀은 ‘핑킹가위’라 ... ...
다각형 속에 상상의 세계가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수학적 사고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많이 된다. 어떤 대상이나 위치를 쉽게 파악하고
기억
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하게 섞여 있는 도형 속에서 특정한 도형을 찾는 능력이 생기면 복잡한 일도 단순화해 쉽게 풀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연상과 유추 능력도 함께 기를 수 있어 상상력까지 ... ...
붉은 악마 사진만 봐도 함성이 들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오직 소리에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며 “이번 연구로 개인적인 경험이나
기억
에도 반응한다는 증거를 찾았다”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6월호에 실릴 예정이다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지난 2004년 미국 리더드 액설 교수와 린다 벅 박사는 인간이 냄새를 어떻게 감지하고
기억
하는지를 밝혀 노벨의학상을 수상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향기 신호는 코의 옆부분에 있는 수천 개의 후각수용체를 거쳐 후각신경을 타고 뇌의 변연계로 보내진다. 변연계는 인간의 감정을 조절하는 기관이다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점에서 매우 편리하다. 또 세 나라는 각 자리마다 기호가 달라 더 큰 수를 쓰기 위해
기억
해야 하는 기호의 개수가 많아지는 반면, 지금은 기호 10개로 모든 수를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보다 더 큰 차이점은 0을 사용해 계산이 매우 편리하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는 연필만으로도 ... ...
범인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해 주십시오. 피살자는 독살됐습니다. 당신의 증언이 결정적일 수 있습니다.요한슨 : 아~,
기억
났어요. 창고에서 2개를 가져 온 게 확실해요. 양 손에 하나씩 들고 왔거든요.다잡아 : 관리인에게 원래 있던 찻잔의 개수를 확인해 보면 당신의 말이 사실인지 알 수 있겠죠. 그럼 피트 씨와 졸리 씨는 그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아십니까? 바로 저랍니다. 하하~.누구나 한 번쯤 복잡한 전시관에서 길을 잃은
기억
이 있을 겁니다. 이 작품 아까 봤던 건데! 하면서 말이지요. 걸어도 그 자리가 그 자리인 미로와도 같은 전시관! 제가 길을 잃지 않는 방법을 알려 드릴게요.모든 전시를 다 보고 나와야겠지요? 보통 전시관 입구나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올림푸스 신들의 승리로 마무리됐다.그런데 과학계에서는 타이탄을 토성의 위성으로
기억
하는 사람이 더 많다. 토성은 2008년 기준으로 60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는데, 1655년 네덜란드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크리스티안 호이겐스가 처음 발견한 타이탄은 그중에서도 크기가 가장 크다. 행성인 ... ...
책을 만들 때도 수학적 사고력으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읽으며 영향을 많이 받았어요. 어렸을 때는 슈바이처, 그리고 대학때 간디를 읽었던 게
기억
에 남아요. 인생의 스승이기 때문에 위인에 관한 책은 삶의 지혜와 교훈을 줘요. 또 전문적인 분야에 대한 영감도 얻고요. 그 밖에 성경이나 불경과 같은 인류의 고전은 정말 좋은 책이라고 생각해요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승 교수는 하드디스크의 정보저장 방식처럼 뇌도 한번
기억
된 정보는 사라지지 않고
기억
되는 위치도 다르다고 설명한다. 하드디스크에서 트랙과 섹터로 구분해 정보를 기록하듯이 뇌도 마찬가지라는 뜻이다. 뇌라는 하드디스크를 이해하기 위해 현미경 연구자들은 전자현미경으로 뇌를 스캔해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