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기술"(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 ‘Big Science’의 고충과학동아 l2018년 06호
- 6월 지방선거 동시 개헌은 무산됐지만, 개헌을 통해 과학계가 담고 싶은 내용은 하나다. 과학기술의 목적이 단지 ‘먹거리 창출’ 또는 경제 발전의 수단에 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과학, 특히 기초과학은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비밀의 끄트머리를 더듬어 찾아가는 길이다. 표를 얻기 위한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장미는 화려한 겹꽃잎의 아름다운 자태와 다양한 색깔, 그리고 달콤한 향기 때문에 ‘꽃의 여왕’으로 불린다. 그동안 원예산업에서는 큰 꽃잎, 화려한 색깔, 오랜 개화 기간, 그러면서도 짙은 향기까지 갖춘 ‘완벽한 장미’를 만들기 위해 수많은 시도를 했다. 최근 과학자들이 장미의 유전자 지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지난 겨울 과일 매출 집계 결과 딸기가 감귤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전통적으로 3~4월에 가장 많이 팔리는 과일은 오렌지였지만, 이 역시 딸기에게 왕좌를 내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원예작물 중 연간 생산액 1위는 1조3000억 원으로 이 역시 딸기가 거머쥐었다. 요즘 제일 잘 나가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아직 새벽바람이 제법 차가운 4월 말. 우리 연구팀은 몇 년전 폐쇄된 강원도 삼척의 한 공장에서 ‘과학기구(Scientific Balloon)’ 발사 실험을 준비하고 있었다. 서늘한 바람이 긴장한 연구원들의 이마를 훑고 지나갔다. 밤새 내린 비로 발사장 바닥이 미끄러웠다. 과학기구는 지름 7.4m의 둥근 풍선 ... ...
- Intro. 노벨상 향한 대장정 스타트, 중이온가속기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가속기는 ‘노벨상의 산실’로 불린다. 기초과학 연구에는 필수 실험시설이자, 산업계에는 새로운 기술 개발의 터전이다. 머리카락 한 올 두께보다 작은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와, 이보다 100만 배 더 작은 펨토미터(fm·1fm는 1000조 분의 1m)의 세계를 보여주는 최첨단 ‘현미경’이기도 하다.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다. 물성을 분석할 다양한 거대 시설을 갖춘 것이 그 나라의 과학기술 수준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의미다. 최 교수는 “신소재 후보는 무궁무진하다”며 “특히 물성과학 분야는 세계적으로 경쟁이 치열한 만큼 라온에서 나온 결과물에 전 세계가 주목하게 될 것”이라고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 편집자주 - 이 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방위(Spaceguard) 프로그램’ 20주년을 맞아 최근 과학자들이 논의 중인 소행성 충돌 방어 시나리오를 토대로 집필한 SF 소설임을 알려드립니다. 박사가 근무하고 있는 연구소의 이름은 NEOT였다. 영문 명칭의 알파벳 약자를 땄을 때, 그것을 발음 ... ...
- [인터뷰] 세종과학고 입학홍보부장 박종찬 “새로운 문제 만드는 훈련 해보길”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반납해야 한다. 박 부장은 “과학고의 본래 취지를 지키기 위한 정책”이라며 “과학기술 분야에서 이공계 인재를 꿈꾸는 학생이 지원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세종과학고의 사회통합대상자 전형은 지원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박 부장은 “사회통합대상자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 ...
- [영재교육원 탐방 5]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영재들만의 학회를 열어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보통 과학영재교육원의 ‘사사과정’에서는 학생이 쓴 논문을 교수가 평가하고 점수를 매긴다.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도 다르지 않을 거라고 생각해 평가방식을 물었더니 교수는 평가자가 아니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그럼 도대체 누가 평가한다는 걸까? 학생들이 어려서 교수 앞에 서면 ... ...
- ASMR 효과, 직접 실험해 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밝혔다. 뇌 64개 지점에서 뇌파 측정실험은 촉촉한 봄비가 내리던 식목일 오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바이오닉스연구단 연구실에서 이뤄졌다. 연구팀은 피실험자인 신 기자를 사방이 차단된 실험 부스에 앉힌 뒤, 알록달록한 수영모를 연상시키는 뇌파(뇌전도·EEG) 측정 장치를 머리에 씌웠다.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