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소
감퇴
감량
저하
하락
수축
점감
d라이브러리
"
감소
"(으)로 총 2,26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롱고로 분화구 안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분화구는 자연적으로 수천년 동안 고립되어 있었으며, 그래서 그 곳의 사자들은 고립
감소
재번식을 수대에 걸쳐서 되풀이하였을 것이다.세렌게티와 고롱고로는 사자의 사냥을 막기 위하여 20세기 후반에 야생동물의 보호지구로 지정될 것이 거의 확실하다. 고롱고로 분화구는 아프리카 사바나의 ... ...
지구환경을 지키는 녹색바람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자동차연료로 쓸 때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0% 정도
감소
하지만 엔진의 출력
감소
가 가장 큰 문제로 남아 있으며, 같은 힘을 얻는데 가스통 부피가 너무 커 설치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래서 벤츠 스카니아의 버스는 밑바닥에, 트럭은 운전석과 적재함 사이의 공간에 가스통을 설치했다.또한 ... ...
임산부 흡연 「밀실 살인」행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타르 일산화탄소 등을 들 수 있다. 니코틴은 혈관을 수축시켜 태아로 흐르는 혈류량을
감소
시킨다. 일산화탄소는 산소를 세포로 운반하는 헤모글로빈과 결합해 산소공급을 방해한다. 이 두 작용에 의해 태아와 태반에 저산소 상태가 일어나고 이것이 태반의 기능저하를 가져오고 태아의 발육부진을 ... ...
PART3 날로 다양해지는 쌀가공품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기술개발의 방향은 우선 재고미의 소비확대를 적극적으로 창출하고, 쌀의 소비
감소
억제를 위한 홍보가 강화되어야 하며 이를 원활히 추진하기 위하여는 다음의 5가지가 적극 연구되어야 한다고 본다. 고미취를 제거하라첫째는 밥맛을 높여 쌀소비를 확대하여야 한다. 아직 우리나라 쌀의 소비중 9 ... ...
새로운 완전수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논란이 되고 있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자판으로 빨리 결정되어야 나중에 혼란을
감소
시킬 수 있을 것이다.이와같은 맥락에서 다음과 같은 물음을 던질 수도 있다. 왜 시계는 시계방향으로 도나. 여기서 "시계가 도는 방향을 시계방향이라 부른 거지"하면 과학적인 답이 못된다. 마당히 왜 그 ... ...
한강의 두번째 기적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점이다. 법적인 규제와 자발적인 참여로써 공장폐수와 각종 오수의 유입량을 꾸준히
감소
시켜 왔고 과학적인 유역관리로 비점원(non-point source) 오염을 크게 줄여 오던 각국에서는 강이 다시 오염되는 것이 가장 가슴 아픈 일이었다. 자신의 식수가 오염되는 문제보다 다시 강이 죽어버리지 않을까 ... ...
3. 알파파와 바이오피드백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보였다고 한다. 이때 세 사람의 알파파가 예외없이 증가했으며 그중 2명은 이상뇌파가
감소
되었다. 찬반양론으로 엇갈려알파 바이오 피드백의 임상적 효과면에서는 찬반양론이 많은 것이 작금의 실정이다. 편두통 혈관성 두통 긴장성 두통 소화장애 및 그밖의 정신생리적 장애의 치료에 응용되기도 ... ...
2. 뇌파 낮추면 마음의 평안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전과 명상을 하고 난 후의 인체의 생리 변화가 현저하게 목격됐다. 산소소비량은
감소
하였으며, 혈압은 떨어지고, 체온은 올라갔으며 뇌파중 알파파의 빈도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아직 우리는 명상상태가 수면상태와 다르다는 것 이외에는 별로 아는 것이 없다. 명상상태에서 알파파가 증가하는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체르노빌 원전사고시의 활약상원자탄 폭발실험이 지하에서 행해졌을 때는 위험이
감소
되었다. 그러나 1986년 4월 28일 체르노빌에서 핵공장이 폭발했다. 이때 바람이 방사능물질의 구름을 스칸디나비아의 중북부에 걸쳐서 넓은 폭으로 휩쓸어 클라도니아종의 지의류는 방사능 해면처럼 행동하여 ... ...
4. 이상뇌파로 질병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20~60㎶(microvolts), 베타파는 10~30㎶ 정도이다. 따라서 이 진폭이 지나치게 증가 또는
감소
돼 있는 경우, 비정상상태로 간주할 수 있다. 뇌파는 외부자극(시각 청각 촉각 등)에 대해서 반응이 대부분 정상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반응이 전혀 없거나 좌우측의 차이가 심한 경우 뭔가 이상이 생긴 것으로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