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위바위보로 진화의 비밀 풀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있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는 식이지요.그 결과, 시간에 따라 전체 도마뱀 중에서 각 전략을 사용하는 비율은 주기적으로 달라졌습니다. 새로운 세대가 탄생하고 돌연변이가 나타날 때마다 우세한 경쟁 전략이 바뀌는 셈입니다. 이 연구 결과로 동물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한 걸음 ...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알리려는 이유가 무엇인가요?대중은 수학을 오해하고 있습니다. 수학을 산수로만 생각하는 거죠. 최근에 어떤 사람들이 “영화엔 수학이 없다”고 말하는 걸 들었습니다. 말도 안 되는 소리지요! 수학이 없으면 그 어느 누구도 영화를 만들 수 없을 겁니다. 영화 ‘토이 스토리’의 특수효과는 수학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연구를 견인하는 것은 무척 반가운 일이지만, 기술 발전 그 이상으로 중요한 점을 생각해야 할 때이다. 해당 기술을 사용하려는 사람의 책임감, 도리, 도덕심 말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터미네이터는 없다] INTRO 인공지능 유토피아 vs. 디스토피아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PART 2 두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발사를 앞두고 있는 제임스 웹은 6.5m짜리 반사망원경이예요. E-ELT나 TMT와 마찬가지로 육각형 거울을 조합한 형태로, 이 덕분에 허블보다 13배나 먼 거리까지 관측할 수 있답니다.제임스 웹은 적외선을 주로 관측해요. 적외선은 열을 내는 물체라면 어디서든 나오는 파장이에요. 관측에 방해가 되지 ... ...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어울리지 않았습니다. 한 요리사가 묽은 커리에 밀가루를 섞어 끈적하게 만들자는 생각을 합니다. 결과는 대성공이었죠. 끈끈해진 카레는 찰기 있는 밥알과 찰떡궁합을 이룹니다. 우리나라도 일본의 영향으로, 커리보다 일본식 카레를 즐겨 먹게 됐습니다.인도에서 커리란 카레처럼 특정한 소스가 ... ...
- [생활] 메럴 카르호프 솔솔 부는 바람으로, 술술 작품 만들다 !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채도★를 다르게 조절한다. 실은 필요할 때마다 조금씩 만들어 사용한다. 모두 환경을 생각해서다.이런 염색 방식은 실뿐만 아니라 물감을 만들 때도 사용한다. 카르호프가 색칠한 도자기 세트를 보면 더 확실히 알 수 있다. 모두 ‘노란색’이지만, 알고 보면 말리는 시간이 모두 다른 노란색이다.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있다. ‘부산 코모도 호텔’은 조선시대 왕궁을 그대로 재현한 독특한 외관을 자랑하며, 각 층마다 화려한 단청으로 단장돼 있다. 지난 5월에는 인천 송도에 국내 최대 한옥 호텔인 ‘경원재 앰배서더 인천’이 문을 열기도 했다. 최기영 대목장을 비롯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장인들이 건축에 ...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실재감은 7가지 효과를 일으킨다. 가상현실 저널리즘에서처럼 각성을 일으켜 반응수준을 높이며, 사람에게 즐거움이나 흥미를 느끼게 하고, 기억을 증가시킨다. 또 콘텐츠가 주는 메시지의 설득력을 높인다. 미 육군의 사례처럼 작업능력을 향상시키거나 기술을 빨리 배우 ...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때, 위치가 태그된 트윗이나 댓글의 내용이 중요한 정보원이 된다. 구글과 페이스북은 각 각 ‘퍼슨 파인더(사람 찾기)’, ‘세이프티 체크(안전 확인)’라는 사람 찾기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퍼슨 파 인더는 2010년 아이티 지진 당시에 처음 소개됐는데, 쉽게 말해 실종자 또는 사망자의 정보를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단계에서 비싼 제작 비용과 무거운 무게, 복잡한 설계, 쉽게 고장 날 위험 등을 무릅쓰고 각 다리에 관절 하나씩을 추가했다. 다리 외피도 원통형이 아닌, 복잡한 3차원 곡면으로 만들었다. 그야말로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에 특화된 로봇이다. 실제로 크랩스터는 지난 달 처음으로 헤엄에 성공했다.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