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뉴스
"
DNA
"(으)로 총 2,128건 검색되었습니다.
너구리는 단일종? 지역마다 다르다네!
2015.11.18
방향으로 진화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실제로 너구리 두개골에서 샘플을 추출해
DNA
시퀀싱(염기서열 분석)을 진행한 결과, 일본 너구리가 타지역 너구리와 유전적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의 공동 교신저자인 민미숙 서울대 연구교수는 “너구리가 서로 다른 환경에서 빠르게 ... ...
[토요스케치] 엄마 아빠 장점만 골라 닮았네, 토종돼지의 ‘점프’
2015.11.08
비교해 토종 돼지의 유전체는 외래종과 확연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국제학술지 ‘
DNA
연구’ 6월호에 발표했다. 국립축산과학원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한국 토종 돼지 10마리와 두록 6마리, 랜드레이스 14마리, 요크셔 15마리의 유전체를 해독해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토종 돼지에서 변이가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위해서다. 과학자들은 파지의 대한 방어수단인 제한효소를 이용해 특정 유전자를 실은
DNA
구조(플라스미드)를 만들어 세포생물체에 넣어 발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이 과정을 클로닝(cloning)이라고 부른다). 최근 생명과학계의 가장 뜨거운 이슈인 게놈편집기술의 발전에도 파지가 한 몫 ... ...
지구 최북단 영구동토 탐험… 맘모스 세포 찾아 인류기원 밝힌다
2015.10.23
위해 매머드박물관에 보관 중인 매머드 사체에서 체모 일부를 받아 왔다. 여기서
DNA
를 추출해 유전자를 분석한 뒤 매머드를 복원할 계획이다. 빙하기 이전 매머드의 외형과 생활상을 통해 당시 인류가 어느 지역에 거주했는지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매머드는 현생 코끼리와 유전자 차이가 0.2 ... ...
“개의 기원은 중앙亞… 1만5000년前 가축화”
동아일보
l
2015.10.21
못해 왔다. 5월에는 약 3만5000년 전 살았던 개에 가까운 시베리아 늑대의 갈비뼈 조각
DNA
를 분석한 결과 개와 늑대가 갈라진 시점이 약 2만7000∼4만 년 전으로 더 이를 것이란 연구 결과가 네이처에 발표됐다. 보이코 박사도 “1만5000년 전이란 시점은 현존하는 개들의 조상이 그때쯤 중앙아시아에서 ... ...
‘新유전자 가위’로 고친 식물, GMO 논란 無
2015.10.20
관여하는 유전자를 교정해 스트레스에 강하도록 만들었다. 김 단장은 “외부
DNA
가 들어가는 GMO와는 다른 만큼 이 기술은 다른 농작물에도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유전자를 교정한 상추가 정말 스트레스에 강한지 실험을 통해 확인할 계획이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 ...
“한국 과학계 너무 성과만 생각해… 새로운 아이디어 개척해야”
2015.10.13
언제 주인공이 바뀔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DNA
의 일부를 정교하게 잘라내는 기술로 유전자 조작에 쓰인다.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편집부에는 매달 수 많은 연구논문이 들어오지만 지면에 실을 수 있는 것은 단 6편이다. 이 때문에 혹독한 ... ...
“발암물질 공격 막아라” 세포의 반응 한 눈에 살핀다
2015.10.13
해결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만큼 화학 분야에서 큰 이슈”라며 “이 분석기술은
DNA
손상을 연구하는 많은 연구자에게 유용하고 강력한 플랫폼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의 생화학 학술지인 ‘더 저널 오브 바이오로지컬 케미스트리'(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에 ... ...
만능줄기세포 결정 칼날 쥔 리보솜
2015.10.12
기능’이 상실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김 단장은 “줄기세포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DNA
에 초점이 맞추던 것과 달리 RNA에 집중한 덕에 줄기세포를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었다”며 “단백질 생산 기계인 리보솜이 배아줄기세포에서도 단백질을 합성하고, 조절자로서도 기능한다는 ... ...
현생 인류, 아프리카에서 시작된 거 맞다
2015.10.09
UNIST) 제공 박종화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사진)팀은 더블린대가 추출한 화석의
DNA
를 넘겨받아 시퀀싱(염기서열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모타 동굴인은 갈색 눈에 검은 피부를 가진 남성으로 유라시안의 모습과는 다른 것으로 판명됐다. 또 우유를 소화하는 유전자가 없어 농경 사회 이전인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