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뉴스
"
전문가
"(으)로 총 8,88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종시 도입한다는 '꿈의 암 치료기’…의학계 “지나친 환상 금물”
동아사이언스
l
2022.07.15
전세계 중입자가속기 도입 현황. 서울대병원 홈페이지 캡처 암 치료를 하는 최신 의료기기가 있다. 일명 ‘꿈의 암 치료기’라고 불리는 ... 발생하는 효과에 대해선 복잡한 생물학적 기전을 검토해야 한다"며 "치료를 받기 전에는
전문가
와 충분한 상담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 ...
허준이 교수 이어 필즈상에 도전하는 젊은 수학자들 누가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15
업적뿐 아니라 그간의 필즈상 선정 경향을 볼 때 조건이 무르익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
들은 최근 지속적으로 수상자를 배출한 분야와 그동안 수상자를 한 번도 배출하지 못한 분야를 특히 주목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올해만 해도 4명의 수상자 중 제임스 메이나드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사회가 이호왕 연구그룹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2022.07.14
현재의 국가예방접종 시스템이 마련된건 2005년이었다. 문제는 이후 한국의 보건
전문가
들이 지속적으로 백신 자급율의 문제를 제기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2009년 신종 플루와 2013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에서 백신 조기 확보는 물론 백신 개발에서 주권확보에 실패해왔다는 ... ...
50세 이상으로 백신 4차 접종 확대…
전문가
의견도 엇갈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3
백신보다 치료제 처방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접종 확대에 문제가 없다는
전문가
들도 있다. 호흡기내과 전문의인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장은 전화 통화에서 “백신 접종에 따른 부작용은 어느 정도 밝혀졌기 때문에 추가 접종의 위험성이 높다고 보고 있진 않다”고 말했다 ... ...
복지장관 후보자에 코로나
전문가
검토…인선은 속도조절
연합뉴스
l
2022.07.13
김 전 후보자가 국회의원 시절 위법 의혹으로 불명예 사퇴한 이후 여권 일각에서 연금
전문가
를 추천하기도 했으나, 보건 의료 쪽에 중점을 둔 윤 대통령의 방침에는 여전히 변함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인선 자체를 서두르는 분위기는 아니다. 우선 윤 대통령 국정 지지도가 30%대로 ... ...
[제임스웹 첫 영상 공개]"평범한 사람들이 만든 제임스웹, 미국 공학교과서를 바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07.12
우주망원경 ISIM 프로젝트 선임 연구원은 10~20년간 제임스웹 망원경 개발에 참여한 베테랑
전문가
들이다. ○“수천 명이 20년 넘게 노력한 헌신과 팀워크의 결과물" 찰스 바이크만 NASA 외계 행성 과학 연구소 소장 찰스 바이크만 미국항공우주국(NASA) 외계행성과학연구소장은 NASA 내에서 지상 ... ...
감염병자문위 첫 회의…"고위험군 보호, 중증·사망 억제 중요"
연합뉴스
l
2022.07.12
사적모임이나 영업시간을 제한하는 등 사회적 거리두기 방식의 방역 대책에 대해
전문가
들은 대부분 현시점에서는 효력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요양병원·시설 면회 제한은 가능한 방역 조치로 꼽힌다. 정부는 지난달 확진자의 7일간 격리 의무를 오는 17일까지 4주 연장하면서 격리의무 ... ...
국내 기업들 원숭이두창 진단키트 앞다퉈 개발 끝냈지만…'상용화 복병 많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같은 방역대책을 세우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전문가
들은 또 원숭이두창 진단키트가 개발은 끝났지만 상용화되는 데 변수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아직 진단키트의 효과를 확인하는 임상시험까지 완료한 국내 기업은 없기 때문이다. 이혁민 세브란스병원 ... ...
국민 10명 중 3명만 "정부 기초연구 정책 성과내고 있다"…10명 중 4명 "소통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15.7%)을 가장 높이 꼽았으며 다음으로 에너지와 환경융합, 복합 분야를 8.8%가 선택했다.
전문가
55.9%는 정부가 추진 중인 기초연구 정책이 성과를 내고 있다 평가했다. 33.3%는 보통, 10.8%는 성과를 내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기초연구 정책에 대한 정부의 소통 역시 18.6%만 잘하고 있다, 21.6%는 못하고 ... ...
기후모델 개선 마지막 퍼즐 해저정밀 지도 4분의 1 완성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있어 상세함이 떨어진다. 수백 미터 높이의 얕은 해산에 대한 데이터를 얻기 쉽지 않다.
전문가
들은 완전한 해저 정밀 지도를 목표로 설정한 2030년까지 얻기 위해서는 접근 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선박이 아예 왕래하지 않는 지역이 많아 관측 데이터를 수집하기가 쉽지 않기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