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해
피해
상해
상처
결손
위해
뉴스
"
손상
"(으)로 총 2,713건 검색되었습니다.
자기장으로 세포 집는 핀셋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5
하지만 두 방법 모두 세포의 강도 등을 측정하기에 힘이 부족하거나, 세포소기관에
손상
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자기장을 활용해 기존 방법보다 세포를 안전하고 오랫동안 실험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미세 자석구슬을 이용한 '자기장 핀셋'이다. ... ...
[전문의가 본 당뇨병] 당뇨병-치주질환 서로 부추겨
동아사이언스
l
2019.03.15
치아 표면에 있는 세균과 세균들이 형성한 치태 때문에 치주조직(잇몸과 잇몸뼈)이
손상
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치주질환이 생기면 이가 시리고 잇몸이 붓고 피가 나며, 치석이 생기고 치아가 흔들린다. 신승일 경희대치과병원 치주과 교수는 ”건강한 사람과 비교해 2형 당뇨병 환자는 ... ...
[전문의가 본 당뇨병] 15년 이상 앓으면 10명 중 7명꼴로 망막병증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3.12
15년 이상 앓은 환자의 약 70%가 망막병증을 겪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번
손상
된 혈관은 복구 불가능… 혈당 조절이 중요 레이저 광응고술로는 신생 혈관을 퇴화시키거나 추후 새로 자라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김안과병원 제공 안과 전문의들은 당뇨망막변증의 진행을 늦추는 가장 ... ...
치매 잡는 유전자가위 최초 개발…동물실험 효과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3.12
바이러스가 아니기 때문에 세포 독성도 훨씬 낮다. 분석 결과 나노복합체는 다른 DNA
손상
없이 Bace1 유전자 부분만 말끔하게 잘라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는 쥐의 해마에 이 나노복합체를 적용했다. 해마는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부위다. 그 결과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양이 ... ...
잘못된 습관이 뇌를 치매에 걸리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사람의 뇌에 비해 대뇌 피질에서 회백질이 약 3% 적었고, 백색질이 1.5배 가량 더 많이
손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회백질은 뇌에서 신경세포의 세포체가 모여 있는 부분이며, 백색질은 신경섬유가 모여 있는 부분이다. 연구를 이끈 시몬 콕스 박사는 "회백질이나 백색질 변화가 뇌 전반에 걸쳐 ... ...
염증 우려 줄인 생체친화적 임플란트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11일 밝혔다. 골절 사고에는 석고붕대로 깁스를 두르는 치료법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손상
이 심한 경우 티타늄 합금 재질의 인공뼈를 이식하는 임플란트 수술을 진행한다. 수술 과정 중 청결이 유지되지 않고 티타늄 표면이 오염되거나 부식될 시 이식 부위에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 ...
배아 수호하는 남성 호르몬
과학동아
l
2019.03.11
유전학과 교수팀은 쥐 배아 실험을 통해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배아의 DNA
손상
-복귀 과정에서 발생하는 염증을 없애 배아의 생존율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2월 2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유전자 돌연변이 때문에 발달 과정에서 결함이 있는 DNA를 복제하고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
과학동아
l
2019.03.10
핵 대치나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 재난으로 인해 어떤 식으로든 지구는 분명 심각한
손상
을 입을 겁니다. 1000년은 지질 연대기에서 눈 깜빡할 시간에 불과합니다. 인간은 지구상의 모든 공간을 사용했고, 이제 갈 수 있는 곳은 다른 세상뿐입니다. 우주로 나가는 것만이 우리를 구할 유일한 길일 ... ...
'불면의 밤' 보내면 뇌에 무슨 일이?
연합뉴스
l
2019.03.08
연구결과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치료법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다. 만성 수면 부족은 DNA
손상
으로 인한 신경세포 사멸의 위험을 높인다. 멀리 갈 거 없이, 많은 뇌 질환 증후 가운데 하나가 불면증이다. ... ...
치아에 고주파 쏴… 방사선 피폭량 간단히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이용되고 있는 치아를 찍었다. 직접 방사선을 쪼여 가며 피폭시킨 뒤 측정을 한다.
손상
우려가 없다는 게 장점이다. 윤신영 기자 예성준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와 박종인 최권 연구원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이 기술을 독자 개발했다. 기존 기술은 치아를 뽑거나 일부를 떼어낸 뒤 가루를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