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뉴스
"
과정
"(으)로 총 15,364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 2차 발사로 우주 간 '원자력전지'·'안테나' 기술 합격점
동아사이언스
l
2024.08.14
PVSAT은 누리호 2차 발사 당시 위성과 발사체 간 연결 인터페이스 검증, 발사 및 분리
과정
의 진동 정보 제공, 위성의 궤도 투입 정보 확인 등 누리호의 탑재체 궤도 투입 성능과 관련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게 주임무였다. 부임무는 우주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국내 산업체가 개발한 기술 ... ...
유전자가위 이용해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4
기전을 규명했다. 설포화란 효소에 의해 특정 아미노산 잔기에 황산기가 붙는
과정
이다. TPST2의 억제가 IFNγ 신호를 활성화하고 항-PD-1 치료의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도출한 것이다. 종양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전임상시험에서 TPST2 제거만으로도 종양 성장이 유의미하게 억제되고 항-PD-1 치료 ... ...
인구 10% 겪는 자가면역질환 제어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4
작용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연구팀은 면역세포인 T세포로 유입된 류신이 대사되는
과정
에서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키는 물질인 사이토카인 분비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자가면역질환이 있는 쥐 모델에 류신 유사체를 투여해 류신 대사를 억제하자 병증이 경감되는 것이 확인됐다. ... ...
베일에 싸인 AI무기 작동
과정
, 인류 위협?…엇갈리는 견해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사고능력을 뒷받침할 만한 근거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는 인간이 LLM의 학습
과정
을 잘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AI가 생성하는 가짜뉴스 등 거짓 정보에 대한 피해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향후 AI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피해 모델이 제기하는 위험에 초점을 ... ...
[과기원NOW] 초저전력 전자코, 가스 식별·농도 측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GIST)은 박주성·김준호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학부생과 이후상 융합기술학제학부 박사
과정
생으로 구성된 어시스트 팀이 창업 경진대회에서 두 번 연속 수상했다고 13일 밝혔다. 인공지능(AI)으로 교통사고 리포트 자동제작 솔루션을 만든 어시스트 팀은 ‘제1회 PDS 창업경진대회’와 ‘2024년 ... ...
실내 온도 낮추고 빗방울로 전력 생산하는 '스마트 창문'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전극을 통한 줄 발열의 히터 기능을 이용했다. 줄 발열은 전류가 흘러 열이 발생하는
과정
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개발한 스마트 창문이 일반 창문 대비 약 7도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했다. 비가 내리는 환경을 모사한 실험에서는 물방울 하나로 제곱미터당 8.3W(와트)의 전력이 생산됐고 ... ...
두개골 열지 않고 주사기로 뇌신경 센서 설치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위해 뇌에 임플란트를 설치하는 경우 두개골을 절개하거나 깎아내는 등 수술
과정
에서 위험이 크다. 국내 연구팀이 작은 바늘구멍을 통해 주사기로 뇌신경 임플란트 센서를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중증 뇌 질환 진단 치료의 혁신이 기대된다. 연세대는 안종현 전기전자공학과 교수팀이 ... ...
美 국방부 과제 'C언어 번역 기술' 韓 연구팀이 선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개발한 C-러스트 프로그래밍 언어 번역 기법
과정
. 먼저 C언어 코드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변환 전략을 적용해 메모리 문제가 없는 러스트 코드로 번역한다. KAIST 제공 최근 미국 백악관·국방부에서 오래된 프로그래밍 언어인 C언어의 메모리 문제 등을 근거로 C언어를 안전한 ... ...
혹한에도 끄떡없는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전극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유기 구조체는 리튬 이온과 상호작용해 전자가 이동하는 산화 환원 반응이 일어난다. 이
과정
을 거치며 더 많은 전자를 품게 됨에 따라 방전 용량이 증가하는 원리다. 특히 SKIER-5는 영하 20도의 환경에서도 흑연에 비해 방전용량이 5배 높았다. 흑연보다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의 ... ...
"암 억제 단백질, 손상된 DNA 합성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효소 복합체의 구조적 특성을 밝히고 그 생화학적 활성과 연계해 Ub-PCNA의 탈유비퀴틴
과정
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예정이다”라고 앞으로의 연구계획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13일 온라인 게재됐다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