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핵심"(으)로 총 3,1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변신의 귀재 탄소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다이아몬드와 같으며 강도는 강철의 100배나 돼‘꿈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생명의 핵심 원소, 탄소 쇠구슬과 자석막대기로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드는‘자석레고’라는 장난감이 있다. 쇠구슬과 자석막대기만으로 에펠탑, 자동차 등 여러 모양을 만든다. 분자세계에서 동소체가 만들어지는 ... ...
- 30년만에 독일서 재회한 대형전파망원경과학동아 l2007년 01호
- 한다.망원경 크기는 국력의 척도 10월 27일 필자는 ‘초장거리 간섭계’(VLBI) 수신기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VLBI 분야를 공동 연구하기 위한 양해각서 조인식을 하기 위해 막스플랑크 전파천문연구소를 방문했다. 우리 일행은 장비들을 보고 입을 다물지 못했다.우주에 관심이 많은 주독 대사관 김영훈 ... ...
- 떴다! 웹 2.0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살아남은 닷컴 기업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경쟁력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두 가지 중요한 핵심 원칙이 발견됐다. 첫째, 플랫폼으로서의 웹과 둘째, 사용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그들의 집단지성이다. 몇 차례 컨퍼런스를 거치면서 사용자들이 만들어내는 콘텐츠(UCC)나 롱테일 법칙, 시맨틱 웹 등의 ...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만드는 유전자(Runx2, Bmp), 색소세포를 만드는 유전자(MITF), 세포간 신호를 전달하는 몇몇 핵심유전자(Wnt, Shh, Notch)를 찾아낸 정도다. 충남대 생물학과 김철희 교수팀은 유전체 구성과 발생과정이 인간과 유사한 제브라피쉬를 모델로 유전자 사냥에 나섰다.제브라피쉬의 배아에 인간유전자를 발현시켜 ... ...
- 슈퍼독감의 조상, 조류인플루엔자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바이러스는 핵산단백질(Nucleoprotein)에 들어있는 꼬리고리(Tail loop)가 증식을 일으키는 핵심이라는 사실이다. 논문을 발표한 미국 라이스대 타오 이지 교수는 “꼬리고리는 대부분 A형 독감 바이러스에 들어있어 이를 표적으로 항바이러스제를 만들면 효과적”이라고 밝혔다.핵산단백질은 작은 고리가 ... ...
- 모바일이 꿈꾸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2호
- 서비스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무선 인터넷을 하게 해 주며 미래의 모바일 인터넷의 핵심이 된다. 와이브로는‘선 없는 광범위 인터넷(Wireless Broadband Internet)’의 줄임말이다. 위 사진처럼 지하철이나 버스 안에서도 초고속인터넷을 즐길 수 있다.걸어다니며 채팅도 한다지?수업이 다 끝난 후 즐거운 ... ...
- 자연에서 얻는 공학적 영감과학동아 l2006년 12호
- 조용한 산길이나 들길을 거닐다보면 바지 섶에 붙어 따라오는 ‘녀석’을 볼 수 있다. 바로 엉겅퀴, 도꼬마리, 도깨비풀 같은 식물의 씨앗이다. 종족을 보존하기 ... 있다. 또한 분야에 따라서는 나노기술과 바이오기술이 함께 발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핵심 융합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 ...
- 태양을 3차원으로 관측한다과학동아 l2006년 12호
- 질량 방출(Coronal Mass Ejection, CME)이라는 태양계에서 가장 격렬한 폭발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암컷의 2개 X염색체 중 한쪽의 기능이 비활성화(非活性化)하는 현상 고등포유동물에서 나타난다X염색체 위에 유해유전자(有害遺傳子)가 있을 경우, 왜 암컷은 X염색체가 1개인 수컷보다 ... ...
- 우주를 꿰뚫는 코드, 단순함과학동아 l2006년 12호
- 따라 오차가 무한히 증가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그뒤 그는 카오스에 대한 현대적 이해의 핵심으로 초기 조건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느냐하는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기후의 초기조건에 대한 민감성을 보통 ‘나비효과’라고 한다.만델브로트는 1975년 ‘부러진 뼈’를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프랙탈 ...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과학동아 l2006년 11호
- 세포로 분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로저 콘버그 교수는 그 밖에도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핵심 분자를 발견해 그 역할을 밝히고 있다. ‘메디에이터’(mediator)라고 부르는 이 분자는 연세대 김영준 교수가 연구실의 박사후 연구원 시절에 로저 콘버그 교수와 함께 밝혀냈다.인간이 가지는 약 3만개의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