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경우 열차 크기가 작은 만큼 터널의 단면적이 KTX와 비교해 110m2에서 30m2로 약 4분의 1 크기로 줄어든다. 또 KTX 무게가 40t(톤)이라면 하이퍼튜브는 절반인 20t인 만큼 교각의 두께를 포함해 부대시설이 대폭 줄어든다. 서울~부산 구간의 평균 건설 비용은 km당 약 205억 원 정도로 추정되며, 이는 현재 ... ...
- [SW 기업 탐방] 흙 없이 잘 크는 기특한 반려식물 피스찰리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냄새가 날 염려도 없다. 3D프린터의 도움을 받다두 사람은 피렌체 화분의 모양과 크기가 안쪽 화분과 잘 들어맞는지, 포장재가 화분의 무게를 잘 견디는지를 실험해야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니터에서만 보던 피렌체 화분의 3차원 도면을 만질 수 있는 실물로 구현해야 했다. 이들은 3D프린터로 ... ...
- [공룡은 왜?] 뿔만 봐도 다 알아! 코스모케라톱스의 화려한 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데이비드 혼 박사팀은 고비 사막에서 발견된 프로토케라톱스 화석 37개의 뿔과 프릴의 크기가 나이대 별로 어떻게 다른지 분석했어요. 그 결과 프로토케라톱스의 뿔이 성장기에는 작았다가 성체가 되면서 갑자기 커지고, 면적도 넓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만약 프릴이 체온을 조절하거나 ... ...
- Part 3. [세 번째 사연] 동물원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유리온실 구조로 덥고 습한 열대우림을 그대로 느낄 수 있어요. 축구장의 약 2배 크기인 4500평 규모의 온실엔 40여 종의 동물들이 살아가고 있지요. 지저귀는 새 소리와 동물 소리 덕분에 실제 밀림에 와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킨답니다.관람객들은 밀림 사이로 난 좁은 길을 따라서만 움직일 수 ... ...
- Part 3. [안내] 사람과 동물 모두를 위한 인공 음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알을 낳는 닭은 ‘배터리 케이지’라는 틀에 갇혀 살아요. 한 마리 당 A4 종이 한 장의 크기도 안 되는 좁은 공간에서 날개도 제대로 펼치지 못한 채 평생 알만 낳는 거예요. 이런 환경에서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닭은 다른 닭을 부리로 쪼아 상처를 입히기도 해요.돼지는 ‘스톨’이라는 틀에 갇혀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책임연구원을 만났다. 그는 영상처리 전문가로,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종양의 위치와 크기, 모양을 파악해 자동으로 3차원 종양 그림을 만드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3차원 뇌 종양 그림 자동 추출하는 소프트웨어이 책임연구원은 국립목포대 전자공학과(현 전자·정보통신공학과)를 ... ...
- [Issue] 화려함을 디자인하는 과학, 불꽃놀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가족들이 보는 앞에서 타상연화가 부푼 기대를 안고 하늘 끝까지 솟구칠 것이다. 그리고 크기가 140m나 되는 31이라는 숫자를 터뜨리면서 축하해줄 것이다 ... ...
- [Career] 스마트폰으로 피부암 진단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모바일 진단 시스템은 피부암 초기 진단에도 활용할 수 있다. 피부암의 경우 병변의 크기와 색깔 분포, 대칭성, 경계 부분의 불규칙성을 기준으로 초기 진단을 내리는데,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에는 이 기능이 모두 들어 있다. 현재 연구팀은 서울대병원 의료진과 공동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하면서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탄생한 ‘인생샷’ 제조 앱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점수를 매겨 점수가 높아질 수 있도록 화살표로 안내하는 앱을 개발했어요. 얼굴의 크기를 줄일지 키울지, 광원과 얼굴의 위치는 어디가 좋은지 화살표로 알려줘요. 100명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이 앱으로 찍은 사진이 일반적인 카메라 앱으로 찍은 사진보다 26% 높은 평점을 받았어요. 앞으로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다울링-윌슨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수를 나타내는 식입니다. 예를 들어 채색 다항식 χG(q)가 q4-4q3+6q2-3q라면 1, 4, 6으로 숫자의 크기가 증가 했다가 3으로 한 번 줄어들 수 있습니다. 즉 뒤이어 나오는 계수는 절댓값이 무조건 3 이하여야 하지요. 허 박사의 첫 논문이기도 한 이 문제는 2012년 ‘미국수학회저널’에 실렸습니다. 허 박사가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