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요법
처치
진료
방법
치료법
구제법
d라이브러리
"
치료
"(으)로 총 3,448건 검색되었습니다.
살맛 나는 동.물.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프로그램은 이 강도와 빈도를 낮출 뿐 완전히 없앨 수는 없다. 행동풍부화 프로그램은
치료
프로그램이 아닌 예방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동물이 정형행동을 보이기 전에 프로그램을 시작해야 한다.사람에게 인권이 있듯이 동물에게도 삶을 영위할 권리가 있다. 먹이를 주고 잠잘 곳을 제공한다고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우수연구센터’로 지정된 형질전환복제돼지연구센터의 경우 올해 초 암이나 당뇨병
치료
에 활용할 수 있는 체세포 복제돼지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돌파구를 마련하는 쾌거를 이뤘다. 센터를 이끄는 충남대 박창식(61세) 교수는 “좋은 연구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연구의 맥이 끊어지지 않아야 ... ...
PART2. 향기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향기의 힘을 이용해 몸과 마음을
치료
하는 것을‘향
치료
’(아로마테라피)라고 한다. 향
치료
에는 몰약, 유칼립투스, 제라늄 등 특별한 향기를 지닌 식물에서 뽑아 낸 오일이 쓰인다. 숲 향기의 정체는?숲에 가면 상쾌한 향이 난다. ‘피톤치드’라는 물질이 숲 향기의 주인공이다. 이 물질은 식물이 ... ...
해부용 시체 카데바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2세기였다. 로마 의사였던 갈렌(클라우디우스 갈레누스)은 콜로세움에서 투우사를
치료
했는데, 그는 ‘인체 각 부위의 구조와 기능’ ‘해부학 지침’과 같은 의학 저서를 남겨 해부학의 시조가 됐다.그뒤 해부학은 갈렌의 영향력 아래 간신히 명맥만 이어오다가 16세기에 이르러 이탈리아의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내가 주스를 다섯 잔이나 마셨는데도 그는 고개를 들지 않았다. 지난 번 밀실에서 미술
치료
를 받은 후 그래도 조금은 가까워졌다고 느꼈는데 내가 마산에 머무는 사이 다시 거리감이 생겼다.그는 차갑고 단정하며 세련되게 자신을 드러내고 감출 줄 아는 사람이다. 기린처럼 목을 빼고 그가 보는 ... ...
뇌에서 잠 스위치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잠이 오게 하는 스위치가 뇌 속에서 발견됐어요.포스텍(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김경태 교수팀은 잠이 드는데 필요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물질을 발견했다고 ... 멜라토닌의 양을 늘리고 줄이는 스위치 역할을 한 거죠. 연구팀은 이 물질이 불면증을
치료
하는 데 쓰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 ...
비만
치료
제가 암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거의 없다”며 “이 물질을 표적으로 삼으면 정상세포에 피해를 주지 않는 암
치료
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올리스타트는 소화기에서만 작용해 인체 곳곳의 암세포를 모두 죽이지는 못한다 ... ...
피스토리우스의 올림픽 출전을 둘러싼 논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6배의 항염증 작용이 있다류머티즘성 관절염 · 알레르기성 및 염증성 안질환 등의
치료
에 사용된다 바르비툴산계의 속효성 최면제 무색 · 무취의 백색결정, 또는 결정성 분말이며 녹는점은 145~147℃이다 물에는 녹지 않고 에탄올 · 에테르 · 클로로포름에는 잘 녹는다신경성으로 잠이 잘 안 오거나 ... ...
3. 스트레스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일반적으로 심혈관 질환은 재발할 경우 사망할 위험이 더욱 높다. 따라서 심혈관 질환을
치료
하는 것보다 프리컨디셔닝을 통해 예방하는 편이 훨씬 중요하다.‘매운’ 고추는 ‘좋은’ 스트레스 서울대 약대 서영준 교수는 매운 맛의 원인인 캡사이신이 세포에 활성산소를 축적시킴으로써 암을 ... ...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몸에 약물 칩을 삽입하는 일로 대신하면 번거롭지도 않고 꾸준히 약물을 투입할 수 있어
치료
효과도 크다. 학부 때부터 이런 수준 높은 연구를 하니 학사졸업논문이 저명한 학술지에 실리는 일도 종종 있다.물리학과 출신인 김세중 씨가 2006년 학부를 졸업하며 발표한 논문이 미국 물리학회가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