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역"(으)로 총 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과학동아 l2004년 12호
- 환자들이 공통적으로 운동성 실어증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오늘날 ‘브로카영역’으로 불리는 이 자리는 언어운동을 관장하는 부위다. 그뒤 많은 과학자들이 뇌의 특정 부위와 기능을 연구해 ‘뇌지도’를 만들었다. 전체적으로 좌뇌는 주로 언어능력에 우뇌는 시각능력에 관여한다 ...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과학동아 l2004년 12호
- 자세히 들여다봤다. 결절은 배아 한쪽 아래에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움푹 들어가 있는 영역이다. 이 속에는 섬모를 달고 있는 세포 20여개가 자리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섬모가 모두 시계방향으로 돌고 있음을 발견했다.연구자들은 섬모의 회전으로 생기는 결절 내부의 유체 흐름을 알아보기 위해 ... ...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과학동아 l2004년 12호
- 명확히 그 정체를 드러낸 것은 사진기술이 좀더 발전한 뒤의 일이다. 1900년에 찍은 이 영역의 사진이 1903년 천체물리학 저널에 실리면서 이 성운은 그 기묘한 형상 때문에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때까지도 이 성운의 중요성은 전혀 인식되지 못했다. 단지 성운에 어두운 틈새가 존재한다는 ...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것이다.인공태반은 태아연구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태아의학은 아직까지도 미지의 영역이다. 태아 자체가 접근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의약품 설명서를 읽다보면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는 문구를 흔히 볼 수 있다. 약이 태아나 산모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지 못했기 때문에 ...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아랫부분에 있는 후각구로 신경 신호를 보내고 이곳에서 다시 뇌의 앞과 옆에 있는 후각 영역으로 신호를 전달해 뇌가 냄새를 인식하게 된다. 후각장애 유전자 치료 기틀 마련시각과 후각을 비교해 보자. 우리는 수많은 색깔을 볼 수 있지만 실제로 시각 세포가 느낄 수 있는 색깔은 빛의 삼원색 즉 ...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진실은 쉽게 묻혀버리곤 한다. 진실을 가려내기란 여전히 그리 쉽지 않다. 이런 양심의 영역에 도전장을 내민 현대과학이 있다. 그 주인공은 폴리그래프, 일명 거짓말 탐지기다.하지만 첨단 과학수사장비로 불리는 이 장비는 탄생 이후 줄곧 논란의 대상이 돼왔다.‘과연 범인을 1백% 가려낼 수 ...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들어 남성의 경우 좌측 측두엽의 일부분만 사용하는 반면, 여성은 우반구에 있는 다른 영역도 함께 사용한다.하지만 이런 차이가 여성과 남성의 인식과 행동양식에 어떤 관련이 있는가에 대해서 아직 과학자들은 답을 얻지 못했다. 다만 성별에 따른 뇌의 차이와 그 차이의 발달과정을 이해하는데 ...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생명의 비밀이 많이 풀렸지만, 생명현상의 많은 측면이 우리에게 여전히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대표적인 것이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자기조립(self-assembly)이다. 생명체는 수십억년 동안 자기조립을 통해 만들어져 각종 기능을 훌륭히 해내는 수많은 나노구조를 진화시켰다.그런데 이들은 불과 2 ... ...
- 작은 수의 강한 법칙과학동아 l2004년 11호
- 답은 31이다. 이것은 원둘레에 n개의 점을 찍은 다음, 모든 점들을 직선으로 연결해 나눈 영역들의 개수다. 그 이후로 57, 99가 이어진다.이처럼 아무리 많은 개수의 수를 나열해 놓아도 규칙만 잘 찾으면 그 다음에 오는 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이것을 수학자 리처드 가이는 ‘작은 수의 강한 ...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제작된 각 부품들인 나노바이오센서, 나노약물전달시스템, 나노모터 등은 각각의 고유한 영역에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마지막으로 실제 축구공과 똑같이 생긴 나노탄소축구공인 C60, 즉 풀러렌을 발견한 공로로 1996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리차드 스몰리 교수의 말을 인용하고자 한다. “만약 한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