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사"(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수학자가 말하는 복권의 진실, 확률로 풀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일가견이 있는 역사 속의 수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복권에 대한 오해를 풀기 위해서다. 그들은 입을 모아 복권에 대한 오해가 많다고 말했다. 보통 사람들이 모르는, 복권에 대한 오해는 뭘까? 수학동아 창간 2주년을 맞이해 복권으로 확률을 배우고, 수학동아가 만든 복권 ‘수또’ 로 행운도 ... ...
- 진실 하나! 복권의 조상은 도박이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관련이 있답니다. 그러니 복권도 너무 자주하면 위험하겠지요?❖한눈에 보는 확률론의 역사① 지롤라모 카르다노(1501~1576) | 워낙 게임을 좋아해 주사위 내기 게임을 자주 했죠. 덕분에 확률론 연구의 시초가 됐습니다. 수학 연구를 핑계 대고 저처럼 도박했다가 망할 수도 있으니 조심하세요.② ... ...
- 진실 둘! 1등이 10명씩 10번 나와도 이상한 일 아니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수학적으로는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니 오해하지 마세요. ❖복권의 이모저모복권의 역사는 기원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동양에서는 기원전 약 100년 진나라에 키노라는 복권이 있었고, 서양에서는 로마 초대 황제인 아우구스투스 황제 때 한 연회에서 복권을 나눠줬다는 기록이 있다. 우리나라는 ... ...
- [Sports Math] 규칙을 담은 춤, 댄스스포츠수학동아 l2011년 10호
- 10가지로 나눠 묶다춤은 인간의 역사와 함께한다. 세계 어느 나라에 가도 고유의 민속무용이 있다. 영국황실무도교사협회(ISTD)는 1924년 세계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춤을 만들려는 계획을 세웠다. 여러 나라의 춤을 조사해 종목을 정하고 춤추는 방법을 표준화했다. 먼저 왈츠, 탱고, 퀵스텝, 폭스트롯, ...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응용되기 시작해 이제는 거의 모든 물리과학 분야의 토대가 됐다. 양자역학을 활용한 역사를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일은 20세기 과학사를 처음부터 다시 이야기해야 할 정도로 방대하다. 여기에서는 20세기 중반, 양자역학이 어떤 분야에 영향을 미쳤고 어떻게 오늘날로 이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 ...
- PART 3. 수학은 집중이다!수학동아 l2011년 09호
- 선택하게 한다. 과학 그룹에 속한 학생들은 ‘수학’ , 사회 그룹에 속한 학생들은 ‘역사’ 가 필수 과목이다. 이 때문에 과학그룹에 속한 학생들은 ‘수학’ 을 집중적으로 공부한다. 학생들마다 개인차가 있지만 수학 수업을 원하는 만큼 학교에서 지원받을 수 있다. 비록 이 제도가 수학을 ...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9호
- 환경에 따라 조금씩 다른 모습을 하고 있어요. 1㎝도 되지 않는 얇은 층이 100만년 바다의 역사를 담고 있는 거랍니다. 해양관측기지에 가다!다시 바다 위로 올라와 해류를 따라서 항해하다 보니 벌써 대한민국 동해까지 왔군. 저기 이번 해양관측의 마지막 종착지인 독도가 보여! 갑자기 독도에는 왜 ... ...
- 월드와이드웹 20년, 아직 진화는 끝나지 않았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사이에 사람들의 생활패턴을 완전히 바꿔놓을 기술임을 짐작조차 하지 못했다. 인터넷의 역사는 40년이 넘지만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 줄여서 WWW나 W3 또는 웹)이 나오기 전까지는 소수 과학자들이나 컴퓨터 마니아들만이 사용했다. 대중들은 월드와이드웹을 통해서 인터넷을 처음 접했기 때문에 ... ...
- 어른을 위한 공룡 책!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속에서 멸종한 유구한 생물 역사의 한 과정으로 본다. 1억 6000만 년 동안 지속된 길고 긴 역사다.2009년 펴낸 책을 번역했기 때문에 비교적 최근 정보를 담고 있지만 2010년 이후 정보는 없다는 점이 아쉽다. 국내 거의 유일한 고생물학 시리즈물인 ‘오파비니아 총서’ 8번째 권으로 책의 수준을 믿을 ... ...
- 꿈을 향해 어디까지 왔을까?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역사나 세계사를 접목시켜 그리스 신화를 바탕으로 한 게임을 개발하거나, 어려운 역사를 재미있게 공부하는 교육용 자료를 만들 수도 있다. 청소년 시기에 떠올릴만 한 아이디어를 충분히 이끌어내라는 게 상담 선생님의 조언이다. “컴퓨터공학과에 가려면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금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