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있다”고 말했다.이 모든 것이 입자물리학, 좁게 말하면 표준모형 연구에서 비롯됐다. ‘세상 만물은 무엇으로 이뤄져 있는가’를 묻고, 물질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 개발한 기술이 의도치 않게 우리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이다. 어쩌면 인류의 중요한 과학적 발전은, 진보 그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진리라고 믿었다. 4원소설은 2000년 이상 세상을 지배한 ‘표준모형’이었던 셈이다.세상은 무엇으로 이뤄져 있는가20세기에 들어와 인류가 발견한 과학적 사실 중 가장 중요한 것을 꼽는다면, 우리 주변의 모든 물질이 모두 ‘원자’로 이뤄져 있다는 것을 확인한 사건을 빼 놓을 수 없다. 물론 18~1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학자들을 파견했어. 우리는 기계의 꿈 속에서 별의 꿈 속으로 들어갔어. 그리고 이 세상을 여행하며 모든 정보들을 수집했지. 그냥 이러면서 연구만 했어도 좋았을 거야. 이 세계는 충분히 복잡하고 아름다웠으니까….”“잠깐. 그렇다면 우린 당신들의 꿈인 거야?”“여기서 스스로를 인간이라고 ...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지구촌에서 현금이 사라진다“다음 세대에 태어나는 아이들은 돈(현금)이 무엇인지 모르게 될 것이다.”지난해 11월, 세계적인 IT 기업 애플의 CEO 팀 쿡은 곧 현금 ... 담겨 전해질 테니! 나도 스마트폰 속 돼지 저금통 어플로 변신해서 너희들을 기다릴게! 그럼 디지털 세상에서 만나! 안녕~ ... ...
- [숲 이야기 하나]수목원 나무들의 겨울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때를 기다리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답니다. 봄이라는 가장 아름다운 계절을 자기들의 세상으로 만들기 위해서아주 부지런히 노력을 하는 것이지요.이처럼 겨울눈은 어려움의 상징인 동시에 희망이랍니다. 어려운 겨울을 이겨낸 풀과 나무들이 피워낼 새 봄의 찬란한 꽃들을 기다리며, 우리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기계가 사람에게 말을 건네는 세상!로봇을 만들기 위해선 어떤 것들이 필요할까요?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 로봇의 몸체 등으로 이루어진 하드웨어와 로봇의 움직임 ... 관심을 가져 보세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해 사람이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 ...
- [특별 인터뷰]미생물 영재, 윤관우 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만난 세상“현미경을 처음 만나게 된 건 7살 때였어요. 집으로 찾아오는 놀이 선생님이 선물해 주신 작은 현미경이 무척 신기해서 가지고 놀았지요. 그러다 우연히 도서관에서 빌려 본 현미경 가이드북을 읽고 현미경에 푹 빠지게 됐답니다.”그 뒤로 윤관우 기자는 주변의 생물과 온갖 사물들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입자의 발견으로 표준모형은 완성될 수 있었어요. 이로써 인간이 2000년 넘게 품어온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질문에 대한 답을 할 수 있게 됐지요. 하지만 표준모형은 아직도 완벽한 답을 내놓진 못하고 있어요. 힉스의 발견은 표준모형의 1차적인 완성이자 우주의 비밀을 풀기 위한 또 ...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마지막으로 헤어지려는데 교수가 내 어깨에 손을 얹더군요. 마치 차갑고 험한 세상으로 나가는 나(맥 경위)에게 신부님이 축복을 빌어주시는 것 같았어요.” 수학신동 모리아티19세기 가톨릭 집안에서는 사내아이가 총명하고 공부하기를 좋아하면 사제가 되도록 길을 닦아 주었다. ... ...
- [News & Issue]1986년 대전, 그때 그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0년 전인 1986년 1월 과학동아가 처음 세상에 나왔다. 같은 해, 과학자로 첫 발걸음을 뗀 이들도 있었다. 카이스트의 전신인 한국과학기술대(KIT)는 1986년 첫 번째 학부생을 모집했다. 과학동아와 같이 태어난 이 쌍둥이 과학자들은 카이스트로 돌아와 벌써 중견 학자가 됐다. 30년 전의 앨범에서 찾은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