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질문하면 대답해 ZOOM] 우주에서는 음식이 썩지 않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방사선에 강한 내성을 갖는 4가지 미생물을 ISS 바깥벽에 1년간 걸어 놓고 실험한 결과를
발표
했어요. 그 결과 4종 중 3종이 여전히 살아남은 것을 확인했지요. 우주인들은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우주에 오랜 시간 머무는데, 미생물 때문에 음식이 상하면 어쩌냐고요? 이런 위험을 막기 위해 우주 ... ...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 낳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것을 수식으로 증명합니다. 펜로즈는 이를 ‘특이점 정리’라고 불렀죠. 1965년에
발표
된 이 연구는 그동안 이론적인 존재일 거라 생각했던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에 무게를 실어줬습니다. 동아사이언스 × KAIST 과학영재교육원세상을 바꿀 문제에 도전하라! 궁극의 질문 프로젝트 필즈상과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1화.
발표
의 세계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저도 그런 기회를 통해
발표
를 몇 번 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했던
발표
중 가장 재밌었던 건 2018년 영국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대학교에서 했던 ‘영국 수학 콜로퀴움’입니다. 그때 ‘스피드 렉처’라고 해서 5분이라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자신의 연구 주제와 결과를 소개하는 ... ...
[한페이지 뉴스] 우리 몸의 엔진, 심장의 연료는?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심장은 혈액을 통해 몸 전체에 각종 영양소와 산소를 공급하며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엔진 역할을 한다. 하지만 정작 어떤 물질이 심장의 연료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연 ... 제공했다”고 연구 의미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10월 16일
발표
됐다. doi: 10.1126/science.abc886 ... ...
도전! 노벨물리학상 ‘펜로즈 특이점 정리’ 이해하기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간의 이론적 관계에 대해 펜로즈 교수는 ‘우주 검열 가설’이라 불리는 여러 추측을
발표
했고, 이에 대한 연구는 물리학계와 수학계에서 지금까지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끝으로 블랙홀 실재 관측 증거를 발견해 펜로즈 교수와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과학자들의 업적이나, 2019년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떠돌지만 지구에서 조종할 수 없는 장치 또는 파편을 우주 쓰레기라고 부른다. 2019년 1월
발표
된 유럽우주국(ESA)의 통계에 따르면 현재 지구궤도에는 200만 개가 넘는 파편이 떠돌고 있다. 파편의 대부분은 인공위성 등의 기체가 노후화되면서 빠져나온 것들로, 그중 크기 1cm 이하인 파편이 약 128만 ... ...
[스쿨 리포트 A+]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온실 기체 감축 장치 만들기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있습니다.프로젝트의 막바지에는 각 조의 프로토타입을 시연하는
발표
회도 진행합니다.
발표
회에서 그림과 기호로 표현한 포스터로 아이디어를 표현하거나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과정을 담은 영상을 추가하면 자신들이 완성한 프로토타입의 특징과 성능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 ...
달에 전파망원경을 세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크레이터에 전파망원경을 건설하자는 ‘달 크레이터 전파망원경(LCRT)’ 아이디어를
발표
했어요. 전파망원경은 파장이 긴 전자기파인 전파를 관측하는 망원경으로, 안테나처럼 수신기에 전파 신호를 모으지요.지금까지 만들어진 가장 큰 단일 전파망원경은 중국의 ‘톈옌’이에요. 지름만 500m에 ... ...
[쇼킹 사이언스] 물속에선 내가 왕! 스피노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꼬리를 이용해 물속을 헤엄치며 생활했을 거라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
했거든요.연구팀은 지난 2008년 북아프리카 모로코 남쪽에 위치한 켐켐 지층에서 발견된 스피노사우루스의 화석에 주목했어요. 이 화석은 지금까지 발견된 스피노사우루스 뼈화석 중 가장 보존이 잘 된 것으로 ... ...
과학난제3. 불로장생의 삶, 가능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지난 1월, 실험실에서 대장암 세포를 다시 정상세포로 회복시켰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
했어요. 정상세포로 돌아온 암세포는 이전의 대장 세포의 기능도 다시 갖췄답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이를 동물과 인간에게까지 확장할 계획이지요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