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d라이브러리
"
반사
"(으)로 총 2,022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따라서 성층권에서 광범위하게 장기간 체류하는 화산성 에어로졸은 산란을 통해 외계로
반사
돼 돌아가는 일사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지표에 도달하는 일사량을 줄일 수 있다. 태양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통해 성층권 대기를 가열시킬 수도 있다.1963년 3월 아궁화산이 분출한 후 20㎞ 고도의 기온이 몇 ... ...
해왕성 Neptune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핑크색의 남극관트리톤은 거대한 남극관을 가지고 있다. 남극관은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
하고 있으며 연한 핑크색을 띠고 있다. 남극관은 질소와 메탄의 서리로 덮여있고 이것이 복사선에 의해서 증발해 연한 핑크색을 나타낸다.남극관 부근의 표면온도는 영하 2백26℃로 낮으나 이곳에서 분연 ... ...
2 호흡이 빨라지며 혈관이 수축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경고라고 할 수 있다. 방어
반사
는 해롭다고 생각되는 큰 소음원에 의해 일어난다. 방어
반사
의 결과로 수음자(受音者)는 방어, 공격 또는 후퇴의 준비를 한다.■ 수의근(隨意筋)을 포함한
반사
(1) 놀람반응:수의근의 활동이 갑작스레 증가한다. 눈을 감는다든가, 안면근육을 이상하게 수축시킨다든가 ... ...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입사하는 빛의 80% 이상을
반사
하는데 반해서 천왕성의 고리물질은 겨우 5% 정도 밖에는
반사
시키지 못한다. 이 물질은 주로 검은 탄소물질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이 물질들은 어쩌면 토성 주위를 돌던 작은 위성이 지구 크기의 천체와 충돌을 일으켜서 부서져 생긴 것으로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어려워졌지만 별을 헤는 기쁨은 더욱 깊어만 간다고 한다.김씨가 제작하고 있는 4인치
반사
망원경은 일본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다. 그만큼 정성을 다해 제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17만원 밖에 받지 않지만 어떤 때는 한개를 만드는 데 4, 5일 넘게 씨름하는 경우도 있다. "망원경 렌즈를 단순한 물체로만 ... ...
치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그나마 다행이다.어린 새끼는 생후 8~11일만에 눈을 뜨지만 20일이 될 때까지도 눈동자
반사
능력이 없다. 생후 12일이 지나면 어린 새끼는 주위를 잘 걸어 다닌다. 3주가 지나면 고체 음식을 먹을 수 있고 6주가 되었을 때는 생각하는대로 행동하게 된다. 15주가 되면 발톱을 안으로 집어 넣는 비법도 ... ...
2 헛발질할 때도 있는 「세계정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시험펄스(pulse)를 발사해 그림이 망가지는 것을 막는다. 수신장치는 펄스를 인식하고
반사
로 인해 펄스가 어떻게 바뀌었다는 것을 계산한 다음 들어오는 모든 신호를 바로 잡을 수 있다.한편 NHK는 아날로그전송이 가전제품용으로는 가장 적절한 방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NHK는 이 기술이 이미 ... ...
화상자료를 컴퓨터가 소화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스캐너가 동작을 시작하면 내장된 램프가 매우 밝은 빛을 종이위에 투사한다. 종이에서
반사
된 빛은 스캐너의 광학기를 통해 CCD(Charge Coupled Device)광센서에 아날로그 형태로 입력된다.이 신호는 아주 미약한 형태이므로 증폭과정을 거친 후 곧바로 A/D컨버터로 달려가게 된다. A/D컨버터란 아날로그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상대성이론이 옳음을 증명한다. 이것은 지구에서 행성으로 보낸 전파중 직접 지구에
반사
되는 것과 태양의 중력장을 우회하는 것과의 도착시간의 차이를 뜻한다. 이 차이를 통해 태양의 중력으로 인한 별빛의 구부러짐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이 방법은 1964년부터 널리 실시됐는데 최근에는 1976년 ... ...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한다.강속구 투수의 불같은 공을 때려내려면 타자는 번뜩이는
반사
신경을 갖고 있어야 한다. 방망이를 치켜 올린 자세에서 휘둘러 방망이가 타격지역 안까지 들어오게 하는데도 평균 0.2초가 걸린다. 따라서 0.46초만에 홈까지 쇄도하는 공에 대처하려면 0.26초 또는 그 이하에서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