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늘로 떠난 수학 사냥꾼, 존 코웨이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나와 그다음 소수인 3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콘웨이는 리처드 가이 캐나다 캘거리대학교 수학과 명예교수와 함께 수에 관한 연구들을 정리해 ‘수의 바이블’이라는 책을 내기도 했습니다. ‘수’라는 개념이 발달하는 과정부터 다양한 수의 성질을 한눈에 보기 쉽게 기하학적으로 설명해 ... ...
- [이달의 수학자] 한국이 제2의 고향이라는 필즈상 수상자, 예핌 젤마노프수학동아 l2020년 09호
- 교수는 고등과학원 설립에 참여했고, 이후 시카고대학교와 예일대학교,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등으로 자리를 옮겼지만 고등과학원 교수직은 줄곧 유지하고 있습니다. 매년 한국을 방문해 한국의 젊은 수학자와 함께 연구하면서 한국 수학 발전에 힘을 쏟고 있죠.20년 이상 한국과 인연을 ... ...
- [꽃가루의 변신 3] 종이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지. _ 인터뷰3 조남준(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 교수) “꽃가루 종이는 학생의 실수로 탄생했어요!” Q 우연히 꽃가루 젤을 발견하셨다고요?네. 2017년, 꽃가루를 강염기 용액에 6시간 정도 담갔다가 마이크로캡슐을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었어요. ... ...
- [기획] 장난감의 변신! 다양성의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아픈 장난감들을 무료로 고쳐주는 ‘키니스장난감병원’이 있어 찾아가 봤어요. 이곳은 대학교에서 금속공학을 연구하시던 김종일 교수님이 2011년 퇴임 후, 동료 교수와 대학 동기들을 모아 설립한 장난감병원이에요. 아이들이 물건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돕고, 장난감 재사용을 통해 ... ...
- 꽃가루를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채집하신 건가요?소아과 전문의 자격증을 딴 뒤, 1992년부터 미국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교 연구실에서 3년 동안 연구했어요. 당시 식품 알레르기를 연구하면서 부전공으로 꽃가루 알레르기를 연구했죠. 그때 교수님이 알레르기 연구라고 환자만 보는 게 아니라 직접 밖에 나가 식물의 꽃가루를 ... ...
- [만화뉴스] 항문 주름 인식 중…, 당신의 똥을 분석해 드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월 6일,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와 서울송도병원 공동연구팀은 대소변으로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인공지능 스마트변기 기술을 개발했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스마트 변기에는 카메라, 압력센서, 소변검사지 등이 있어요. 카메라는 사용자의 항문과 ‘볼일’을 찍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지능은 ... ...
- 변신의 달인, 장난감 한계를 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도움 및 사진 윤용수(일본 규슈대학교 의학연구원 보건학부문 조교수), 정규영(조선대학교 아랍어과 교수), 김종일(키니스장난감병원 활동가), Rita Ebel(Die Lego Oma ... ...
- 박람이가 남긴 마지막 선물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월 12일, 드디어 5t(톤) 트럭 화물칸에 대형 케이지를 설치하고 박람이를 호흡 마취해 충북대학교 동물 병원으로 옮겼습니다. 마취된 박람이를 살피기 위해 저도 트럭에 함께 타고 호흡수, 심장박동수, 체온 등의 변화를 5분마다 확인했습니다.트럭이 멈추고 뒷문이 열리자 많은 의료진이 모두 나와 ... ...
- [포토뉴스] 흰머리오목눈이 무리는 왜 서로를 피할까?수학동아 l2020년 09호
- 가지 않습니다. 왜 그런지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나타샤 엘리슨 영국 셰필드대학교 수리통계학부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흰머리오목눈이 무리의 서식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1952년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이 동물의 무늬가 형성되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만든 ‘반응-확산 방정식’을 ... ...
- 기후변화는 이미 시작됐다! 대한민국을 덮친 벌레의 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적었고 벌레의 대량 번식으로 이어졌다고 추측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백순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생태 변화는 아주 복잡한 요인이 작용한 결과이므로 곤충이 폭발적으로 증식한 원인을 기온 한 가지만으로 결론짓기는 어렵다. 다만 메뚜기떼 등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