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변화
여럿
여러
종류
변종
d라이브러리
"
다양
"(으)로 총 11,913건 검색되었습니다.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19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가 제시한 ‘푸앵카레 추측’은 ‘끊긴 부분이 없이 닫힌 3차원
다양
체는 구면과 위상동형이다’라는 내용입니 ... 알수록 재미있는 위상수학의 세계! 여러분이 수학자가 돼 아직 완벽히 풀리지 않은 4차원
다양
체의 비밀을 파헤쳐보는 것은 어떨까요 ... ...
[수학체험실] 수학과 거리두기는 이제 그만! 인도의 베다 방진과 베다 도형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스피드 수학’이라고도 부른다.베다 수학의 계산 방법은 계산하려는 수와 목적에 따라
다양
하다. 손가락 곱셈법과 특유의 사칙연산법 등 베다 수학의 여러 가지 계산법은 빠를 뿐 아니라 신기하고 흥미롭다. 하지만 수십 가지에 이르는 베다 수학의 계산 방법을 모두 외우는 것은 불가능하다.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을 영화처럼 만드는 무채색의 마법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표현할 수 있습니다. 흐릿함을 표현하는 회색의 단계가 많을수록 그래픽의 깊이감이
다양
해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무채색에 색상을 살짝 더해주면 또 다른 느낌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이런 원리를 반영해 플레이데드는 2016년 림보의 후속작 ‘인사이드’를 내놨습니다. 여러분이 ...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남긴 숙제를 풀기 위해 지금도 전 세계의 많은 수학자들이 노력하고 있죠. 평생
다양
한 수학을 넘나들며 700편이 넘는 수학 논문과 50권의 책을 저술한 시에르핀스키는 1969년 10월 21일 세상을 떠났습니다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과학자들의 상상력은 끝이 없다.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구와 태양 사이에 반사판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나, 지구 위에 인공 태양을 만들어 친환 ... “블랙홀 연구를 통해 당장 에너지를 추출하는 것은 어렵더라도 연구 과정에서
다양
한 과학적 발견이 이뤄져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
멸종의 과거 딛고 펼친 흰 날갯짓, 황새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말했다. 해외에서 유입되는 황새는 한국의 텃새 황새와 교배하며 유전적
다양
성을 높일 수 있기에 귀하다. 김 연구원은 “황새 서식지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핵심 월동지역에 대해 특별관리를 하는 등 앞으로 더 많아질 황새를 보호할 수 있는 체계를 잘 설립해두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남자를 마주했다.“이게 뭐야? 뭐야? 뭐…예요?”우리우리스 종족은 원래 키가 굉장히
다양
해서 아주 작은 키부터 4m 정도에 이르는 무리도 있었다. 한편 얼굴 생김은 동서양의 마귀들을 반씩 섞은 것 같은 외모를 갖고 있었다. 마침 의원과 보좌관은 4m가 넘는 크기였기에 남자는 그 둘의 모습만 ... ...
[논문탐독] 가상 우주로 은하의 역사를 들여다 보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위성은하 또는 은하를 만든 우주는 드물었습니다. 이는 중력 외에 유체역학적 부분에서
다양
성이 생기기 때문입니다.이 논문은 지금까지 우리은하 역사를 연구하기 위해 가장 많은 수의 가상 은하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연구입니다. 하지만 아직 우리은하 주변 환경까지 정확하게 재현한 가상 우주는 ... ...
[인터뷰] “신에너지 기술로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들겠습니다” [한글 번역본]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저명한 국제학술지 ‘클리너 프로덕션 저널’에 실렸다. doi: 10.1016/j.jclepro.2019.118626 또
다양
한 바이오가스를 연료로 이용해 SOFC 시스템을 설계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에너지’에 실었으며, 신에너지 기술 관련 논문 2개가 추가로 심사중이다. Perhaps helped by the conducive atmosp ...
[지사탐 인터뷰] 외래종 거북, 친환경적으로 잡는다! 구교성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수입업자들은 금세 비슷한 다른 거북 종을 수입해서 들여와요. 결과적으로 갈수록
다양
한 외래종 거북들이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돼요. Q 외래종 거북을 꼭 잡아야 하나요? 결국 사람 잘못인데 불쌍한 것 같아요. 한 생태계에 새로운 종이 들어오면 기존 생태계의 균형이 깨져요. 먹이 사슬이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