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으로 다시 본 화왕산 억새태우기 참사과학동아 l2009년 03호
- 걸쳐 눈이 온 뒤, 영하 10℃를 오르내리는 한파가 이어져 화왕산 억새밭에 눈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불이 크게 일어날 수 없는 상황이었다는 얘기다.반면 올해는 행사 당일 전 2달 동안 비가 2번밖에 오지 않아 매우 건조했다. 실제로 사고 당일 산을 오르고 내리는 동안 먼지가 심하게 날려 온몸이 ... ...
- 구르는 돌에서 만나는 진리, 오일러의 수과학동아 l2009년 03호
- 90°, 외각은 360°-(3×90°), 즉 90°다.만일 정육면체에서 외각이 90°인 꼭짓점 A가 잘리면 남아 있는 도형에 외각이 각각 30°인 세 개의 꼭짓점 B, C, D가 생긴다. 즉 뾰족함의 정도가 90인 부분이 잘리면서 뾰족함의 정도가 30인 세 부분으로 나뉜 것이다. 다면체도 모양이 변할 때 뾰족함의 합을 유지한다는 ... ...
-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과학동아 l2009년 03호
- 천문학계의 큰 이슈지만 관측 자료가 부족해 아직 그 정확한 발생원인은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NASA는 이미 2004년에 감마선폭발을 관측하기 위해 인공위성 ‘스위프트’를 발사했다. 폭발위치를 X선 검출기로 먼저 감지하면, 스위프트는 인공위성 전체를 돌려 상세 관측을 시작한다. 스위프트가 ... ...
- 산소이온 빔으로 광물 나이 알아낸다과학동아 l2009년 03호
- 무엇일까. 2001년 호주 커틴공대 과학자들이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지구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물질은 호주에서 발견된 ‘지르콘’이란 광물이다. 이 광물의 나이는 무려 44억 400만 살. 광물에 나이테가 있는 것도 아닌데 나이를 어떻게 알아낼까.암석의 나이테 ‘동위원소 ... ...
-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과학동아 l2009년 03호
- 이제 설거지를 해볼까. 아무래도 기름에 튀긴 음식이다 보니 냄비 여기저기에 기름기가 남아 있다. 이럴 경우 그냥 물로 씻어서는 잘 안 닦인다. 주방세제가 필요하다.꿀처럼 찐득하고 투명한 주방세제를 머금은 수세미를 냄비에 대고 문지르자 거품이 일면서 기름기가 사라진다. 맹물일 때는 그렇게 ... ...
- 생물진화 실험장! 갈라파고스 섬에 가다과학동아 l2009년 03호
- 빠르게 줄어들었다. 핀타(Pinta)섬에는 ‘외로운 거북’이라는 이름의 거북이 딱 한 마리 남아 있는데, 이 거북은 몇 살일까?※ 이 문제의 정답을 적어 3월 16일까지 e메일(yhlee@donga.com)로 보내주시거나 전시회 현장에 마련된 함에 넣어주신 분 가운데 3명을 추첨해 과학동아 1년 정기구독권을 ... ...
- 숭례문 화재 1주년 숭례문 부활의 현장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03호
- 탁본을 가져와 고증 자료로 쓰고 있다. 지덕사의 탁본은 1865~1870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남아 있는 숭례문 현판 탁본 중에서 가장 오래됐다. 지덕사 탁본과 현재 숭례문 현판의 탁본을 비교해 달라진 부분은 새로 조각해서 끼워 넣게 된다.비록 숭례문 현판이 처음 걸렸을 당시의 글씨체는 알 수 ... ...
- 고릴라와 함께한 영장류 진화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03호
- 호모 사피엔스1967년 동아프리카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오래된 화석 발견.의의 : 현재 남아 있는 유일한 사람 종.수수께끼 : 높은 수준의 상징 문자와 언어를 쓰는 종이 호모 사피엔스 외에 또 있었는지 밝혀지지 않았다.난쟁이 친척 호모 플로레시엔시스2004년 인도네시아의 섬에서 발견된 호모 ...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과학동아 l2009년 02호
- 겪은 과정입니다. “어쩌면 땅속 깊숙히 어딘가에 매머드의 뇌세포가 이처럼 온전히 남아있을지도 모른다”고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사실 전 개인적으로 매머드 보다는 태즈메이니아 호랑이의 부활여부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태즈메이니아 호랑이는 캥거루와 마찬가지로 육아낭이 있는 ... ...
- 컴퓨터로 되살아난 클레오파트라과학동아 l2009년 02호
- 모습과는 상당히 달랐을 것이라는 점이다.사실 클레오파트라의 경우 초상화나 머리뼈가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애쉬턴 박사가 재현한 그녀의 얼굴이 실재와 얼마나 닮았는지 객관적으로 증명할 방법은 현재로선 없다. 하지만 과연 애쉬턴 박사가 복원한 얼굴과 우리가 지금까지 상상하고 영화로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