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머지"(으)로 총 2,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20년 동안 은폐됐던 UFO 목격담 공개과학동아 l2003년 01호
- 2002년 12월 1일 드디어 영국 국방성 인터넷(www.mod.uk)에 20년 동안 은폐됐던 UFO 목격담이 담긴 ‘렌들셤 파일’이 공개됐다. 공개된 파일에는 1980년 12월 말 영국 ...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다"라고 영국 국방부는 메모로 남겨놓았다. 렌들셤 사건과 관련된 나머지 파일은 인터넷에 공개돼 있다 ... ...
- 4 세포의 수문장 막단백질을 공략하라과학동아 l2003년 01호
- 백여개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들 막단백질 중에서 기능이 알려진 것은 불과 20% 내외다. 나머지 80%의 막단백질 경우에는 그 기능이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같이 기능이 밝혀진 막단백질의 수가 적은 이유는 세포 내부의 수용성 단백질에 비해 막단백질 연구가 훨씬 까다롭기 때문이다.단백질의 ... ...
- 자유롭게 계단 오르는 새로운 휠체어과학동아 l2003년 01호
-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암호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DNA 즉 게놈에서 유전자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다 유전자 안에서 의미 없는 부분인 인트론과 구별된다정보통신용어로서 공중정보망의 데이타 교환점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공중정보통신망인 X·25에서 노드역할을 하는 것이 패켓교환기이다탄두를 ...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과학동아 l2003년 01호
- 크게 두부분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DNA의 특정부위에 결합하는 부위(DBD, DNA-bindong Domain)고, 나머지는 RNA중합효소에 결합하는 부위(AD, Activation Domain)다. 이 두 부위는 원래 하나의 단백질(GAL4)에 있는데, 이를 유전자 조작으로 두부분으로 분리해 각각을 별도로 발현시킬 수 있다.송 박사는 이 점에 ...
- 문화재 아름답게 노화시키는 보존법과학동아 l2003년 01호
- 있다. 땅 속에 있다가 지상으로 올라와 공격하는 흰개미는 전체의 20% 정도에 불과해 나머지 80%가 다시 공격을 해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좀더 근본적이고 과학적인 보존 대책이 필요하다. 피해 건물 부근에 살충제를 뿌린 소나무 말뚝을 설치해 흰개미를 유인한 다음, 이들이 살충제를 묻혀 다시 땅 속 ... ...
- 블랙홀이 태양계를 삼킨다?과학동아 l2002년 12호
- 폭발 현상이다. 이런 폭발은 바깥쪽으로 강력한 충격파를 발생시키고, 이 충격파는 별의 나머지 부분을 날려버린다. 이것이 초신성 폭발 현상이다. 동시에 이 과정에서 살아남은 핵이 태양 질량의 3.5배 이상이면, 어떤 힘도 핵의 중력 붕괴를 막을 수 없기 때문에 무한히 작아지고 조밀해져 블랙홀이 ... ...
- 나는 네가 지금 어디 있는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02년 12호
- 하는 원을 그리면 두 원의 교점을 구할 수 있는데, 두개의 교점 중 하나가 구하고자 하는 나머지 한점이다.GPS 역시 간단한 삼각형의 원리가 3차원으로 확대된 것이다. 위성이 보내온 신호에는 위성의 위치 데이터가 들어있는데, 위성의 위치가 삼각형을 그릴 때 미리 알고 있는 점에 해당한다.위성과 ... ...
- 벽 뚫고 지나가는 공과학동아 l2002년 12호
- 빛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까닭은?두장의 편광필름(편광판)으로 하나는 고정시키고 나머지는 조금씩 회전시키면 빛이 밝았다 어두워졌다 한다. 이처럼 편광판에 의해 빛의 세기가 달라지는 까닭은 빛이 종파가 아니라 횡파이기 때문이다.자연광은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퍼져나가는 빛이다. ... ...
- 파킨슨병 정복하는 줄기세포과학동아 l2002년 12호
- 모델 쥐 3마리의 뇌에 이식한 결과, 1마리는 운동성이 완전히 정상으로 회복됐고 나머지 2마리도 증상이 개선됐다는 것이다.인간 배아 줄기세포를 대상으로 한 가장 최근의 연구 업적은 중국의 핑 우 교수가 지난 11월 11일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한 것이다. 이 연구는 아무 조작도 하지 않은 ... ...
- 동성애 동물은 뇌구조가 달라과학동아 l2002년 12호
- 양을 조사했다. 9마리는 성교 상대로 수컷을, 8마리는 암컷을 선호하는 숫양이었다. 나머지 10마리는 암양이었다.레이킨 교수는 이 세그룹의 뇌 구조 중 특히 시상하부에 주목했다. 시상하부는 성행동과 성호르몬 분비를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조사 결과, 게이 숫양의 시상하부 중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