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d라이브러리
"
공간
"(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비행사 비서 로봇 ‘아일라’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움직이는 모습을 보고 학습도 할 수 있다. 최근에는 국제우주정거장을 모방한 실험
공간
에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연구진은 “아일라에 적용한 동작 방식은 다른 형태의 로봇을 만들 때도 그대로 쓸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화석은 많이 훼손돼 있기 때문에 윗이빨 위에 과연 빈
공간
이 있었는지, 그리고 그
공간
에 과연 독샘이 있었는지는 확실하게 이야기할 수가 없다. 또 이빨 표면에 발달한 홈은 독을 사용하지 않는 다른 동물에게서도 나타나는 특징이기에, 단순히 이빨만 보고 시노르니토사우루스가 맹독성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달리는 차들을 생각해보자. 시속 100km로 100m 간격을 두고 달리는 11대의 차량 행렬은
공간
적으로 1km다. 그런데 톨게이트 부근에서 선두 차량의 속도가 느려져 뒤의 차들도 서행을 한다면 간격이 좁아져 전체 행렬이 10m 이내로 줄어들 수 있다(차량 길이를 무시한다고 가정하자). 마찬가지로 원래라면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휴식을 취해요. 그런데 풀이 거의 없고 흙만 있다면 수원청개구리가 낮에 쉴 수 있는
공간
이 없는 거지요.수원청개구리의 또 다른 휴식처인 배수로도 과거와 많이 변했어요. 전통적인 논둑 옆에는 종종 논에 물이 들어오거나 빠져나가는 길인 ‘배수로’가 있어요. 배수로는 흙으로 만들어져 수풀이 ... ...
[창의] 모바일과 블록을 잇다, 모블로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블록을 쌓는 게임이다. 3D 설계도를 이리저리 돌려 보며 결과물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공간
지각 능력을 기르는 데 좋다. 과제를 수행하기까지 걸린 시간을 자동으로 측정해 쌓기 실력이 전보다 얼마나 늘었는지도 알려준다.모블로는 수학이나 한자 수업, 소프트웨어 교육에도 활용할 수 있다.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타오 교수는 처음 에르되시가 제시한 문제에서 더 나아가 복소수와 무한차원의 힐베르트
공간
위에서도 증명했다. 1과 -1이 오른쪽과 왼쪽을 나타내는 일직선이라면, 복소수에서는 방향을 사방으로 가질 수 있어 원형으로 나타난다. 앞의 만화는 에르되시 불일치 문제를 복소수로 확장한 것이다.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방화석탐사대 헌터와 터커는 높이가 25cm도 채 되지 않는 작은 구멍이 숨기고 있는 비밀
공간
을 탐사하고 있었다. 살금살금 기어들어가니 구멍 끝은 커다란 방으로 이어져 있었다. 길을 따라 나아가니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거친 암반이 나타났다. 암반을 기어오르니, 어린아이나 여성이 지나갈 만큼 ... ...
[Photo] 지구에서 체험하는 화성 라이프!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먹고 회의를 할 수 있는
공간
이 있다. 모든 대원들이 둘러앉아 마주볼 수 있는 유일한
공간
이다. 화성의 영구동토층엔 뭐가 있을까캐나다 북극제도의 데본섬에도 화성학회가 세운 기지가 있다. 2000년 문을 연 ‘플래시라인 화성북극연구소(FMARS)’다.얼음이 녹아 길이 열리는 여름 한두 달만 이용할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곁에 두고 관찰하고픈 욕구도 있었다. 그러려면 곤충손님이 찾아오도록 밥상을 차릴
공간
이 필요했다. 작년 7월 2억6000만 원을 들여 버려진 땅을 구입한 정 박사는 잡초를 뽑고 그 자리에 곤충의 먹이식물 150종을 심었다.“이 넓은 땅에 모종 몇 개 심어봐야 티도 안 나요. 일도 하던 사람이나 하지. 온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1984년 존 슈워츠와 마이클 그린이 시발점이었다. 그들은 초대칭이 있는 끈 이론에서 시
공간
이 10차원이면 중력 변칙항(중력이 포함된 양자이론에서, 일반적인 좌표변환에 대해 같은 꼴로 변환되는 ‘일반공변성’을 깨뜨리는 항)이 사라진다는 점을 증명했다. 그러자 에드워드 위튼을 비롯해 미국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