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d라이브러리
"
마지막
"(으)로 총 3,18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의 거친숨소리
과학동아
l
200506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호수인 다나우 토바는 세계에서 가장 큰 화산 분화구다. 7만년전
마지막
으로 폭발한 이 화산 분화구(해발 901m)에 물이 고여 담청록색의 호수를 만들었다. 호수 가운데에 있는 싱가포르 만한 사모서섬은 푸른 절벽이 광활한 초목 지역을 에워싸고 있다. 지구에서 가장 큰 ... ...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06
지나가는 곳마다 딱딱하게 굳어져 단면 데이터가 차례로 쌓인 입체 형상이 만들어진다.
마지막
으로 형상을 둘러싼 액상의 광경화수지를 에탄올로 제거한다. 만들어진 형상은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다.이 방법은 ‘3차원 나노 스테레오리소그래피’라는 공정이다. 3차원 프린터 기술로 불리기도 ... ...
그림자 마왕 '네가 머래도 다비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5
3번 외계인은 벽 80㎝ 앞에 놓여 있고, 60㎝ 크기의 촛불이 외계인 60㎝ 앞에 놓여 있다.
마지막
4번 외계인은 벽 1m 20㎝ 앞에 놓여 있고, 1m 20㎝짜리 크기의 촛불이 인형 60㎝ 앞에 놓여 있다. 벽에 비춘 그림자가 다음과 같을 때 가장 큰 외계인은 몇 번이겠는가? 이번 문제를 맞히지 못하면 지구를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5
해서 영원히 빛나는 것은 아닙니다. 태어나서 죽는 일생을 가지고 있답니다. 별이
마지막
단계에서 폭발하여 밝게 빛나는 것을 초신성이라고 합니다. 초신성이 폭발할 때 지구에서 보면 갑자기 매우 밝은 새 별이 나타난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로는 새로 태어난 것이 아니라 종말을 맞이한 것이죠. ... ...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05
보면 기억상실증에 걸린 여자가 하루 동안 일어난 일을 잠만 자면 잊어버린다. 그녀는
마지막
에 결혼도 하고 아기도 낳지만 자신은 그 사실을 까맣게 모른다. 영화 ‘메멘토’는 증세가 더 심하다. 10분마다 기억이 사라진다. ‘웃찾사’의 ‘희한하네’라는 코너도 비슷한 증상을 웃음의 소재로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05
핵미사일을 명중시켜 소행성을 산산조각낸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런 방법을 가장
마지막
에 선택해야 할 최후의 방법으로 본다. 조각난 소행성의 진로가 어떻게 바뀔지 몰라 지구에 새로운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방사능 낙진이 지구에 피해를 줄 수도 있다.천문연 문홍규 연구원은 “현재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05
원하는 지점만 찍으면 프로그램이 알아서 자신의 땅을 기하학적인 도형으로 그려준다.
마지막
에 누가 많은 땅을 가졌는가에 따라 승패가 갈리는 것은 땅따먹기와 똑같다. 그런데 보로노이 게임에는 땅따먹기와 본질적으로 다른 비밀이 숨어있다고 한다. 도대체 뭘까.보로노이(Voronoi)는 1908년에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05
우주개발 경쟁에서 소련을 제치고 선두 지위를 확고하게 구축했다. 1972년 아폴로계획의
마지막
주자인 아폴로 17호까지 무사히 우주 비행을 마치자 아폴로우주선은 미국의 우주기술을 상징하는 대명사가 됐다. 이듬해 NASA는 이런 분위기에 박차를 가했다. 그간 한번밖에 쓸 수 없어 경제성이 낮다는 ... ...
동굴 탐험가 어둥굴차스키의 실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4
한다. 찾아낸 어둥굴차자스키우여곡절 끝에 살아남은 썰렁 홈즈. 그런데 어떻게 된 일?
마지막
동굴을 통과하고 나니 화려한 건물이 하나 나타나는 게 아닌가? 사실 그 동굴은 고대부터 내려오던 황제들의 휴식처였던 것이다. 어둥굴차자스키는 그 곳에서 황제 같은 삶을 살고 있었던 것이다. 믿거나 ... ...
갈릴레오의 경사면 실험
과학동아
l
200504
언제나 그 거리를 공이 구르는데 든 시간의 제곱에 비례했다’고 썼다. 갈릴레오는
마지막
에는 좀 더 정확을 기하기 위해서 자신의 맥박을 재는 대신 가는 관에 흐르는 물의 양을 측정해 시간을 재기도 했다.갈릴레오는 경사면 실험으로 거리가 시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등가속도운동 법칙을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