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능력
역량
권력
정력
에너지
기력
뉴스
"
힘
"(으)로 총 4,164건 검색되었습니다.
'유튜버 시대'의 CES…미니드론에 AI 샤크 카메라까지
연합뉴스
l
2020.01.09
들어가 촬영 장비를 위아래로 움직이며 유영했다. 손잡이의 버튼을 누르면 카메라에
힘
이 붙어 앞으로 나간다. 서브루(Sublue)의 올해 신제품은 이번 CES에 맞춰 1월 초 한국에서도 출시됐다. 물속에서 사람을 인식해 촬영하는 '화이트샤크 나노'는 별도의 수조에 전시돼 있었다. 상어 모양의 수중 ... ...
구글·페이스북도 탐낸 ‘로봇 핸드’ 10년간 열정으로 ‘진일보’
동아사이언스
l
2020.01.09
제품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요자들은 조금 더 작으면서도 잡는
힘
이 센 알레그로 핸드를 기대하고 있다. 배선을 일체형으로 해 디자인을 개선해달라는 요구와 로봇 팔과의 연결성을 고려해 달라는 요구도 있다. 배 박사는 “이 같은 수요자들의 개선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 ...
세계 최고 수준 인공 촉각세포 만든 김도환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전위가 발생하는 원리로 자극을 인지한다. 연구팀은 양이온과 음이온간 끌어당기는
힘
을 이용해 인공세포막 구조를 만들고 폴리우레탄 고분자와 이온이 들어있는 액체인 전해질에 실리카 입자를 넣어 촉각세포 메커니즘을 모사했다. 연구팀은 이 인공촉각 세포를 이용해 손으로 누르는 압력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커피의 치매 예방 효과
2020.01.07
수면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더 클 텐데 놀라울 따름이다. 수면장애도 커피 앞에서는
힘
을 못 쓴다는 말인가. 만성적인 수면장애는 치매의 위험성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잇달아 나오고 있다. 지난해에는 수면부족이 뇌에 이상 단백질인 아밀로이드베타와 타우 덩어리가 침착되는 걸 ... ...
"노벨상 받은 우주가속팽창 연구, 잘못된 가정에서 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정체가 확인되지 않은 이론상의 개념이다. 암흑에너지는 누르는
힘
이 아닌 잡아당기는
힘
인 ‘음(-)압’을 일으킨다. 콜라 병을 따면 콜라병 내부의 압력이 음(-)이 되며 콜라가 팽창하는 것과 비슷하다. 암흑에너지는 1990년대까지 가설 상의 개념이었다. 1990년대 말 과학자들은 먼 우주의 초신성을 ... ...
'미니장기'로 항암제 부작용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불가피한 희생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최근 들어 실험동물의 희생을 줄이자는 목소리가
힘
을 얻으면서 과학계는 대안을 찾고 있다. 구본경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IMBA) 교수는 가장 확실한 대안인 '오가노이드'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로 꼽힌다. 오가노이드는 사람이나 동물 세포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생 식충식물의 사냥비결은 끝이 말리게 진화한 주머니
동아사이언스
l
2020.01.05
잎과 주머니 모양 통발이 함께 자랄 수 있는 것”이라며 “열대통발기바가 물리적인
힘
을 이용해 먹잇감을 사냥할 수 있도록 진화했음을 유전적인 수준에서 찾았다는 데 연구에 의미가 크다”고 평했다 ... ...
6각으로 각잡힌 얼음, 만들어질땐 '삐뚤빼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3
중국 북경대의 고성능 원자
힘
현미경(AFM)을 활용했다. AFM은 분자 간 인력에 의해 떨리는
힘
을 측정해 분자의 유무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분자 하나 크기까지 판별해내는 현미경이다. 이를 통해 관찰해보니 얼음 가장자리 부분에서 일시적으로 5각형 혹은 7각형 형태의 분자 고리가 형성되는 것으로 ... ...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
과학동아
l
2020.01.01
유전자인데, 2번 염색체에 들어있습니다. 이 유전자를 없앴더니 제 동생의 팔다리
힘
이 엄청 세졌답니다. 지난번에는 눈코입과 손가락, 발가락 등 신체검사도 했습니다. 혈액을 뽑아서 혈압과 당뇨 여부도 확인했고요. 장기에 이상이 없는지도 체크했습니다. 아직까지는 순조롭게 테스트를 통과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헤디온에 대한 뇌하수체의 반응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크다는 사실도 페로몬 가설에
힘
을 실어줬다. 헤디온을 맡았을 때 여성이 남성에 비해 뇌하수체가 훨씬 크게 활성화됐다. 사람도 페로몬을 이용해 무의식적인 의사소통을 함을 시사하는 많은 연구결과가 나와 있음에도 불구하고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