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뉴스
"
하늘
"(으)로 총 1,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손아, 해 뒤를 돌아 무사히 나오렴
동아사이언스
l
2013.11.28
어디로 가는지 아는가? 저 산과 들에 피어 있는 꽃들을 몇 가지나 분간할 수 있는가? 밤
하늘
의 별자리는 몇 개나 짚어낼 수 있는가? 우리가 맛있게 먹는 오징어라는 동물이 있다. 중국에서는 오적어(烏賊魚)라고 불렀다. 라는 책에 이르기를 '오적어(烏賊魚)는 항상 스스로 물 ... ...
발굴의 한 획을 그은 천마총
동아사이언스
l
2013.11.27
나타낸다’고 말했다. 또한 신라시조 박혁거세의 탄강설화 중 나정우물가에서
하늘
로 날아간 백마와 천마총 천마를 볼 때 신라 건국에서 북방 유목민족의 역할을 짐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천은 세계를 놀라게 한 ‘마답비연’이라는 청동천마상이 나온 곳으로 북방기마민족의 유적이 산재한 ... ...
[광화문에서]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외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7
아니라 대기의 밀도 변화 때문이다. 먼지와 광해(光害)로 탁한 넓은 도시의 좁은 밤
하늘
은 별의 존재 자체를 잊게 만든다. 그래서 이젠 아무도 별을 찾으려 들지 않는다. 서울 지도를 펼치면 북한산 자락이 남쪽으로 내려와 동서로 흐르는 한강을 만나는 교차점에 용산이 있다. 지형으로 보면 용산이 ... ...
아이손 혜성을 볼 수 있는 마지막 기회
과학동아
l
2013.11.25
아이손 혜성이 지나간 곳에 들어서면서 혜성의 부스러기가 수많은 별똥별로 변해 밤
하늘
을 수놓는다. 지금까지 관측한 결과 아이손 혜성은 예상만큼 밝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하지만 혜성의 밝기를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아이손 혜성이 태양을 가까이 지나가며 또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 ...
왕의 숫자보다 많은 금관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알타이족은 샤먼이 우주목을 타고 오르면서 환자들을 치료한다고 믿었다. 샤먼은
하늘
과 교응하는 영혼의 소유자이므로 병마 때문에 고생하는 자, 불행에 빠져 고통받는 자를 치유하는 능력을 가졌다고 인식되었다. 당시 제정(祭政)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였다면 샤먼의 중요도는 누구보다도 ... ...
순간의 물방울도 머물지 않는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믈라디미르 파피타시빌리 박사는 “아이스큐브는 남극 빙하 아래 있지만 남쪽과 북쪽
하늘
로 유입되는 중성미자를 관측해 전 우주를 관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 물리학과 프랜시스 할젠 교수는 ”천문학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 ...
태양계 여행 함께 떠나보실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일으키는 태양 흑점의 영향으로 위성 및 통신 장애가 곳곳에서 일어난다. 인류에게
하늘
에도 관심을 가져달라고 시위하는 듯하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지구가 속한 태양계에서 벌어지는 놀라운 현상들은 알게 모르게 우리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런 태양계를 차분히 이해할 수 있는 책이 ... ...
아이손 혜성은 왜 녹색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1
night)가 아닙니다"라고 답변하였다. 다시 말해 혜성을 보려면, 날씨가 좋은 날 새벽에
하늘
을 찾아봐야 간신히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아이손 혜성은 스피카 근처에 있어서 찾기는 쉽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제 달이 혜성에 다가가고 있다. 북두칠성의 국자 손잡이가 휘어진 방향으로 부드럽게 ... ...
[채널A]21번째 화성 탐사선 발사…물·대기 사라진 원인 규명 목적
채널A
l
2013.11.20
기잡니다. [리포트] [이팩트: 3, 2, 1. 주 엔진 시작, 점화, 발사] 거대한 로켓이 굉음을 내며
하늘
로 솟아오릅니다. 로켓 상단에는 미국의 21번째 화성탐사선 ‘메이븐’이 실렸습니다. 메이븐의 임무는 약 40억 년 전 화성에 풍부했던 물과 이산화탄소가 지금은 모두 사라지고 척박한 ‘붉은 행성’으로 ... ...
스웨덴 황태자 방한을 기념한 신라의 고분
동아사이언스
l
2013.11.19
것은 단순한 장식적 의미를 넘어서서 나뭇가지나 사슴뿔에서처럼 새가 이승과 저승,
하늘
과 땅을 연결 짓는 매개자로 여겼기 때문으로 추정한다. 은으로 만든 뚜껑이 있는 그릇에 ‘연수원년신묘3월(延壽元年辛卯三月)’라는 명문이 나왔는데 연수는 고구려의 연호이므로 이 그릇이 고구려에서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