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뉴스
"
지금
"(으)로 총 10,23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십억 광년 밖서 심장박동처럼 반복된 빠른 전파폭발 확인
연합뉴스
l
2022.07.14
국제 연구팀은 지난 2019년 12월에 포착된 이 신호에 'FRB 20191221A' 라는 명칭을 부여했으며,
지금
까지 확인된 FRB 중 가장 오래 이어지고 가장 명확한 주기성을 보이는 것으로 제시했다. 전파원은 수십억 광년 떨어진 먼 은하로 추정되지만 어떤 천체에서 나온 것인지는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사회가 이호왕 연구그룹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2022.07.14
하지만 졸업 후 나라의 덕을 입게 됐고, 이후에는 그 은혜를 갚는 길을 갔습니다.
지금
돌아보니 하늘이 정해준대로 인생을 살았어요.” -고(故)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림원이 만난 사람' 인터뷰 중에서 이달 초 작고한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를 보통과학자로 부르긴 ... ...
우주 너머의 희미한 빛에서 별 탄생과 죽음, 물 존재를 포착하다
2022.07.13
발견 등을 주제로 관측을 진행한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이번 관측 이미지에 대해 “
지금
까지 찍은 우주의 모습 중 가장 깊은 곳”이라면서도 “사진 속의 우주는 쭉 뻗은 팔 끝에 쥐고 있는 하나의 모래알 크기에 불과한 작은 영역”이라고 했다. 양성철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135억 년 전 ... ...
[제임스웹 첫 영상공개]제임스웹은 어떤 우주망원경인가
2022.07.12
거울을 다 펼치면 지름이 6.5m로 허블의 약 3배다. 집광 면적은 25m²에 이른다.
지금
까지 개발된 우주망원경 중 가장 크다. 그만큼 희미한 빛도 잘 포착할 수 있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우주 형성 초기 일어났던 일들을 관찰하는 것이 주 임무다. 허블보다 약 100배 강력한 성능을 갖췄고 허블과 달리 ...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지금
까지 보지 못했던 천체 사진 첫 공개...바이든 대통령 맛보기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7.12
미항공우주국이 첫 공개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으로 찍은 SMACS 0723 은하단 이미지.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촬영한 풀 컬러 사진을 공개했다. 12일(현지시간) 이뤄지는 NASA의 제임 ... ...
지난해 한반도 탄소·메탄 농도 각각 최댓값 경신…"증가 추세 이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2
김 연구관은 “메탄은 대기 중에서 분해되는데 10년, 이산화탄소는 100년이 걸린다”며 “
지금
처럼 이산화탄소와 메탄이 배출되면 대기 중 농도도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관련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온실가스를 포함한 기후변화 원인물질에 ...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첫 풀 컬러 사진, 바이든 대통령이 공개하기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별과 은하를 담았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정밀유도센서(FGS)가 포착한 것으로
지금
까지 촬영한 우주 이미지 중 가장 먼 곳을 찍은 이미지다. 12일 오전 10시(현지시간)에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결과가 공개된다. 남반구 별자리인 용골자리에 있는 대성운과 태양계 밖 외계 거대 행성 ... ...
방사선 노출량 30% 줄이는 X선 부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X선 튜브’ 기술이다. X선 장비는 126년 전 처음 원리가 발견된 후 120여년이 지난
지금
도 ‘열음극선’이라는 핵심 기술에서 별다른 발전이 없었다. 텅스텐 필라멘트 등 소재에 전기를 가하면 가열되는 과정에서 열과 함께 부수적으로 전자가 튀어나오는데 이를 금속에 부딪혀 나오는 에너지로 X선을 ... ...
기후모델 개선 마지막 퍼즐 해저정밀 지도 4분의 1 완성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전역한 한 예비역 군인은 약 300만㎢에 달하는 해저 관측 데이터를 기부하기도 했다.
지금
까지 만들어진 해저 정밀 지도를 제외한 나머지 약 77% 면적의 해저 지형에 대한 지식은 부족하다. 높은 해산이나 깊은 해구의 존재 여부를 저해상도 위성 관측 데이터로부터 추정하고 있다. 위성으로는 가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힉스 입자 발견 10년, 그동안의 성과와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22.07.09
LHCb), 앨리스(ALICE) 4대의 검출기에 기록된다. 네이처는 “힉스 입자에 대해
지금
까지 이뤄진 면밀한 연구와 조사는 기초 물리학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에 대해 중요한 해결 단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