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532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리포트] 블랙홀이 시간 차 트림을 했다?
과학동아
l
2022.12.03
게 아닐까 싶어요." Q. 후속 연구는 어떻게 진행될 예정인가. "저와 연구팀은 시간이 지난
뒤
방출되는 전파를 총 2개 관측했습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관측 결과를 토대로 설득력 있는 시나리오를 제안했구요. 후속 연구에서는 추가 관측을 통해 두 개의 방출에 대해 자세하게 다루고자 합니다." Q. ... ...
우유 나오는 번데기로 유충 기른다…사회적 곤충 개미의 의사소통법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크게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번데기 주위에 분비물이 축적되는 현상을 처음 관찰한
뒤
염료 추적 실험을 통해 분비물의 이동경로를 추적해 개체별로 변화를 살폈다. 개미는 알에서 부화해 애벌레가 되고 번데기를 거쳐 성충으로 성장한다. 연구팀은 성충이 되기 직전의 번데기가 많은 양의 ... ...
멀고 험한 치매 정복...알츠하이머 신약 '레카네맙' 임상3상 결과 엇갈린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알츠하이머 환자 1795명을 투약그룹과 위약그룹으로 나눈
뒤
2주에 한번씩 레카네맙과 위약을 각각 투여했다. 18개월 후 레카네맙을 투여한 그룹은 위약그룹과 비교했을 때 알츠하이머 유발 원인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베타((Aβ) 단백질 축적량이 감소했으며 인지기능 ... ...
반도체 공정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않고도 실시간으로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에폭시의 국소부위를 적외선으로 가열한
뒤
그 흐름을 배관 외부에서 적외선 흡수 기반 온도센서로 측정하는 원리다. 연구팀이 개발한 센서로 극미량의 디스펜서 토출량을 실시간 측정한 결과 300Hz(헤르츠) 고속으로 토출되는 1㎍(마이크로그램·1㎍은 10 ... ...
"코로나 재유행 주춤…2주
뒤
최대 2만명까지 떨어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감소했다며 앞으로도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판단했다. 권오규 수리연 연구원팀도 2주
뒤
신규 확진자 수가 2만5000명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손우식 수리연 감염병연구팀장팀은 11월 25일까지 감염재생산지수가 1.04로 파악된다며 2주 전 대비 소폭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향후 2주간 ... ...
코로나19·독감 등 바이러스 4종 동시 진단 PCR 기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한계가 있었다. PCR 기기는 주로 채취된 바이오 시료에서 핵산을 추출하고 PCR로 증폭한
뒤
형광 측정을 통해 질병 감염 여부를 판별한다. 기존 기기에서 다중 형광을 측정하려면 다수의 컬러필터가 필요한데 광원과 카메라 구성이 복잡하고 비싸다는 문제가 있었다. 서 책임연구원팀은 코드 기반 ... ...
과총 사무총장에 강건기 전 과기자문회의지원단장
동아사이언스
l
2022.11.30
강건기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 과총 제공 강건기(53) 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지원단 단장이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사 ... 공주대 사무국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과평가정책국장, 연구개발투자심의국장을 지낸
뒤
2021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지원단 단장을 역임했다 ... ...
박쥐가 머라이어 캐리 뛰어넘는 가수 된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2.11.30
연구팀은 박쥐 5마리에서 후두를 채취하고 박쥐가 소리를 낼 때처럼 공기의 흐름을 만든
뒤
초당 최대 25만 프레임의 속도로 촬영해 성대가 진동하는 과정을 관찰했다. 그 결과 박쥐가 가성대(ventricular folds)를 이용해 저주파 소리를 낼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가성대는 후두의 점막 주름 중 ... ...
노벨상 수상 클릭반응으로 고성능 탄소나노튜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30
alkyne) 분자의 반응으로 이뤄진다. 연구팀은 아자이드 분자가 도입된 고분자를 합성한
뒤
반도체성 탄소나노튜브를 감아 분리했다. 그리고 알카인 고분자를 유리기판 위에 합성했다. 알카인이 고정화된 기판을 아자이드 고분자가 감긴 탄소나노튜브 용액에 넣으면 클릭반응을 거쳐 탄소나노튜브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2] "가까운 미래 달에서 거주하는 시대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22.11.29
큰 특징은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추진 모듈과 사람이 탈 수 있는 캡슐은 발사된
뒤
다시 지구로 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재사용 구조는 로켓 발사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웨어 책임자는 “뉴 셰퍼드는 블루오리진의 아주 자랑스런 성과”라며 “재사용이 가능한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