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국가대표 체조선수는 사마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수컷을 잡아먹는다는 무서운 얘기도 들었어. 사실이니?보통 짝짓기를 하고 나면 수컷의 9
0
% 정도가 잡아 먹혀요. 우리를 연구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왜 사마귀 암컷이 수컷을 잡아먹는지에 대한 의견이 다양해요. 영양 섭취를 위한 행동이라거나, 사람들이 지켜보고 있는 인공적인 상황에서만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알려진 중의적인 그림이라도 일단 첫눈에는 감각적으로 첫 번째 모습을 인지하고, 약 34
0
ms 뒤에 두 번째 그림을 의식적으로 인지한다고 결론내렸다. 그리고 시각적으로 한계가 있어서 중의적인 그림임을 알더라도 두 모습을 동시에 볼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아주 작은 변화가 큰 변화로~그렇다면 왜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나오지 않았다. 양자컴퓨터는
0
또는 1의 이진수를 기본으로 하는 디지털 컴퓨터와 달리
0
과 1이 동시에 존재하는 양자역학의 특성을 이용한다. 따라서 수많은 계산을 동시에 수행해 정답을 내놓을 수 있다. 캐나다의 ‘디-위에브’사가 2
0
13년 양자컴퓨터 제품을 내놨지만, 이 컴퓨터가 실제로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강한 빛을 쏴도 그 지점 외에는 따로 손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살아있는 세포에 2
00
nm 크기의 작은 구멍을 뚫을 수 있을 정도입니다. 이렇게 되면 세포를 죽이지 않고 수술을 할 수 있죠. 머지않은 미래엔 몸속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할 때도 펨토초 레이저를 활용할 겁니다. 펨토초 레이저는 다양한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전시돼 추모공원으로 사용될 계획이다.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작년 12월부터 3개월간 5
0
명이 넘는 연구자들을 투입해 맹골수도 일대를 현장조사했다. 조사를 총괄한 이용국 센터장은 이런 이야기를 했다. “원래 겨울에는 바다날씨가 험해 조사를 하지 않습니다. 이번엔 인양을 해야 하니까 무리해서 ...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무렵 그리스의 유클리드가 (a+b)²에 대한 이항정리를 언급한 기록이 있습니다. 그로부터 1
00
년 뒤 인도의 수학자 핑갈라는 더욱 높은 차수의 이항정리까지 풀어 놓았습니다.삼각형 모양의 전개식도 파스칼이 태어나기 훨씬 전부터 있었습니다. 송나라 수학자 양휘는 이항정리의 개념을 파스칼의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지진이 하이청 을 강타했다. 도시를 크게 파괴시킬 수 있는 큰 규모 였지만 인명피해를 2
000
명 수준으로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듬해 중국은 탕산 지역에 규모 7.6의 대지진 을 다시 겪었다. 탕산 지역에는 하이청 지역에 나타났 던 전조현상이 단 하나도 없었다. 결과적으로 도시 전 체가 붕괴했고 ... ...
손가락 관절 ‘뚝’ 소리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사이에 공기가 생기면서 소리가 나는 것과 유사한 원리다. 그레고리 교수는 “관절은 약 2
0
분 뒤에 다시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온다”며 “관절에서 소리를 내는 일을 반복하는 것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미국과학공공도서관저널(PLoS ONE)’ ... ...
통증약 타이레놀, 감정 동요도 없애줘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이들에게 영양실조에 걸린 아이 같이 감정을 유발하는 사진을 보여주면서 감정 동요를
0
~1
0
점으로 평가하게 했다. 평가 결과 아세트아미노펜을 먹은 참가자들의 평균 점수는 5.85점으로, 가짜 약을 먹은 사람들의 평균(6.76점)보다 낮았다. 연구팀은 아스피린이나 이부프로펜과 같은 다른 진통제 ... ...
1
0
억 분의 4의 가능성, 뮤온 붕괴 현장 포착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그동안 B중간자가 뮤온이라는 물질로 붕괴할 것으로 예측해왔지만, 그 가능성이 1
0
억 분의 4 정도로 매우 낮아 지금까지 실험으로 증명하기는 어려웠다. 연구팀은 이 붕괴 반응을 6시그마(99.9999998%)의 정확도로 확인했다. 이는 2
0
13년 힉스의 존재를 확인한 5시그마보다 더 명료한 결과다. 특히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