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제자
생도
학도
피교육자
학상
동공
d라이브러리
"
학생
"(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거슬러 30년 전 고등
학생
박종화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프로그래밍을 좋아했던 부산출신의 소년은 컴퓨터로 노화와 관련한 생명 현상의 비밀을 풀겠다는 생각에 서울대 수의학과에 진학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컴퓨터라는 개념조차 생소한 시대였다. 컴퓨터와 생물을 접목해 연구를 하는 학자도 ... ...
“건설환경의 패러다임이 바뀔 것”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비전이 있냐는 질문을 자주 하는데, 그건 전혀 중요하지 않아요. 그건 산업의 비전이지
학생
본인의 비전이 아니잖아요. 본인이 좋아서 선택한 일이 최고의 비전을 가진 일입니다 ... ...
여름에는 누구나 수학 성적이 떨어진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지빈 교수는 “실내온도가 21℃에서 31℃까지 올라가니,
학생
들의 수학 성적은 1.6%p(퍼센트 포인트)하락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뇌가 생각을 할 때 많은 열이 발생하는데, 기온이 높아지면 열처리에 어려움이 생기는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지빈 교수는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학생
들이 어떤 꿈을 갖고 있는지에도 관심이 많았다. 꿈이 있는데 어떻게 이룰지 모르는
학생
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며 인터뷰가 끝난 뒤에 기자에게 ‘과학기자가 되는 방법’을 취재해 가기도 했다. 에너지가 넘치는 사람은 주변에 그 힘을 전파한다더니 김상미 선생님이 딱 그런 분이었다.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단계를 넣어 이 그림을 여덟 가지로 그렸다.그리고 이 그림을 대
학생
57명에게 보여 줬다.
학생
들은 첫 번째 실험에서는 1~8번 순으로, 두 번째는 8~1번 순으로, 마지막은 다시 1~8번 순으로 보면서 언제 이 그림의 모습이 다르게 보이는지 체크했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7번 그림에서 남자 얼굴이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끊임없이 새로움을 추구해야합니다." 셰크먼 교수는 '과학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 "남들이 생각하지 않은 주제를 남들과 다른 방식으로 풀어내는 새 ... 만날
학생
들 중에도 생명공학도로서의 꿈을 꾸는
학생
들이 있겠죠. 제 강의로 그런
학생
들이 더 많아지면 좋겠네요.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궁금한 게 있으면 언제든 선배들이나 교수님께 여쭤보세요.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는 건
학생
만이 가진 특권이니까요.“ 해설지보다 연습장을 가까이”문제를 풀다보면 쉽게 답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이럴 때 바로 풀이방법을 보는 게 아니라 최소한 10~20분 정도는 고민해보는 것을 ... ...
서서 공부하면 능률이 쑥~!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능률을 높일 뿐 아니라 아동비만도 예방할 수 있다”며 “이전 연구에서 서서 공부한
학생
들은 칼로리를 15% 더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건강 증진 및 교육’ 4월 21일자에 발표됐다 ... ...
논문 한 편의 저자가 1014명?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것이다. 연구를 이끌었던 미국 워싱턴대 생물학과 사라 엘긴 교수는 이에 대해 “
학생
들 모두가 직접 글을 쓴 것은 아니지만 지적으로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반박했다 ...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많다. 미국 카네기멜론대 컴퓨터공학과 로리 패이스 크레너 교수가 같은 학교 교직원 및
학생
47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한 번 만든 비밀번호를 다시 사용하는 사람은 80%에 육박했다. 로리 교수는 TED 강연에서 "정작 사용하는 특수문자는 몇 개 없다"며 "특수문자 때문에 오히려 암호의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