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행성에 대해 전혀 모르던 때였어요. 하지만 조르다노 브루노는 지구가 태양 주변을 도는 작은 행성일 뿐이며, 무한히 넓은 우주엔 태양과 같은 별이 수없이 많다고 주장했지요. 이런 우주 무한론은 로마 교황청으로부터 이단 판정을 받았답니다. 하지만 그의 생각은 이후 학자들에게 큰 통찰을 ... ...
- 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많이 들고 토양을 단단하게 짓누르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죠. 사베르는 약 50kg에 불과한 작은 로봇이에요. 6~12대가 한 팀을 이뤄 한 시간에 1ha(가로, 세로 100m 너비)의 농작지에 씨앗을 심을 수 있지요. 컴퓨터 프로그램에 씨앗의 간격이나 패턴 등을 입력하면 최적의 경로를 계산해 군집로봇들이 각자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응력이 형성돼 있었는가에 대한 증거가 제시돼야 한다”고 밝혔다. 공극압암석 내부의 작은 구멍 속에 들어 있는 액체에 의한 압력 지중 응력 지반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생기는 지반 중의 응력 연구단에서 총괄책임을 맡고 있는 이강근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대한지질학회장)는 “두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직접 겨냥해 조사할 경우 재발 가능성은 현저히 낮아진다. 박 교수는 “전자의 크기는 작은구슬, 양성자는 야구공, 중입자 같은 원소는 볼링공에 비유할 수 있다”며 “크기가 큰 중입자로 DNA를 직접 친다면 DNA가 다시 복구될 수 없을 정도로 산산조각 난다”고 설명했다. 중입자는 암세포가 위치한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양을 분모에 써서 분수(18)로 나타낸 거지요. 키가 커야 팔등신?보통 키 크고, 얼굴도 작은 연예인을 팔등신이라고 하니까 키가 커야만 팔등신이 될 수 있다고 착각하는 사람이 있어요. 만약 그랬다면, 비를 좀 더 확실히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비는 비교하는 양이 기준이 되는 양에 비해 ‘어느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쓰곤 하는데, 둘은 같은 거예요. 세균은 한자어, 박테리아는 영어지요. ‘박테리아’는 ‘작은 막대’라는 뜻의 그리스어 ‘bakteria’에서 유래되었어요. 처음 현미경을 통해 발견된 박테리아가 막대 모양이었기 때문이랍니다. 촉매는 ‘닿다’는 뜻의 ‘촉(觸)’과 ‘중매하다’를 의미하는 ‘매(媒 ... ...
- Part 2. 쓱싹~ 물로 미세먼지를 쓸어버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인도 뉴델리에 거대한 크기의 물대포가 등장했어요. 이 물대포는 0.001~0.05mm 크기의 아주 작은 물방울을 높이 45m까지 분사할 수 있답니다. 또한 1분당 최대 100L의 물을 뿜어낼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지요. 이 물대포에서 발사한 물방울이 닿은 곳은 95%의 미세먼지가 제거됐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 ...
- [매스미디어]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있었다고 설정하고 있다. 이 특이점은 에너지와 물질의 밀도가 무한대인 점으로, 이것이 작은 돌덩이 하나에 농축된 것이 인피니티 스톤이다. 즉 6개의 인피니티 스톤에는 어마어마한 에너지가 담겨있다. 소울 스톤의 행방은?6개의 인피니티 스톤 중 소울 스톤은 아직 한 번도 영화에 등장하지 ...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움직이는 모습을 설명하는 확률 모델을 ‘확률보행’라 부릅니다. 기체나 액체 속의 작은 입자가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현상을 나타내는 브라운 운동을 설명할 때 주로 쓰이지요. 듀밀-코핀 교수는 무작위로 그린 선 중에서 자기 자신과 만나지 않는 선만 주목해 살펴봤습니다. 이를 ...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무승부로 끝나면 아무것도 적지 않고, 그게 아니면 이긴 사람의 기호(◦ 또는 ×)를 작은 틱택토 위에 크게 적습니다. 큰 틱택토에서 승부가 난 곳을 제외한 다른 틱택토의 빈칸에 ◦ 또는 ×를 표시해야 합니다. 결국 큰 틱택토에서 먼저 삼목을 만드는 사람이 최종 승자가 됩니다. 슈퍼 틱택토에서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