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
넘버
번호
d라이브러리
"
숫자
"(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당신의 '수학 혈액형'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늘 실수로 틀려.”“수학 시험만 생각하면 심장이 떨려.”진단수학 시험 시간, 갑자기
숫자
들이 허공으로 비상하고 연필을 쥔 손에 땀이 송글송글 맺힌다면 당신은 ‘긴장성 불안’으로 수학 실력이 나쁜 경우. 당신은 수학을 잘 하려는 욕심이 있고 성적을 올리겠다는 각오도 굳다.처방기대가 크면 ... ...
PC자리 넘보는 3세대 휴대전화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걸리고 한 번 충전으로 35분 정도 통화하는 게 고작이었다.그러나 다이나택은 기본적인
숫자
키패드 외에도 전원, 재다이얼, 저장 등 9개의 특수키와 발광다이오드(LED)가 붙어 있어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정보를 표시한다는 측면에서 현대 휴대전화의 선조라고 할 만하다.다이나택이 등장한 뒤 전자 ... ...
[제 1 화]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말장난할 기분이 아니었다. 실연당한 밤에는 이불이라도 뒤집어쓰고 우는 편이 옳다.
숫자
가 전부인 깐깐한 대통령, 키보드에서 Backspace 키만 떼어내는 괴짜 대통령이 나랑 무슨 상관이람.“이상한 일이지. 너도 관찰력이 좋으니까 봤겠지만, 대통령이 그 시의 마지막 두 행을 잊으셨어. 그뿐만이 ... ...
대체 에너지 '에탄올'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음을 들을 수 있는 것이 적지 않다도형 입체 음성 등을 인식해 읽어들이는 것 문자나
숫자
의 인식보다 한결 어렵다 패턴인식을 위해서는 극히 다량의 정보를 순간적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 로봇의 시각장치와 음성인식 타자기에 일부 실용화가 시도되고 있다Edwin Powel Hubble(1889∼1953) 미국의 ... ...
너희가 먹는 물을 아느냐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수도관은 정수장의 물을 전국 곳곳의 수도꼭지까지 배달하는 ‘물’ 고속도로다.두 번째
숫자
는 프랑스산 생수가 부산을 거쳐 서울로 운반되기까지 이동한 거리다.수돗물에 대한 해묵은 불신은 생수 시장을 폭발적으로키웠다. 이제 생수의 이동거리는 더 길어지고 이동횟수도 잦아지고 있다 ... ...
초등학생도 하는 조선식 제곱근 풀이법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돼 너무나 쉽다. 홍길주 자신도 “멍청한 어린이라도 쉽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다만
숫자
가 커지면 뺄셈을 하는 횟수가 늘어 번거롭긴 하지만, 전통시대의 계산법에 따라 산가지로 빠르게 조작하면 뺄셈은 순식간에 할 수 있다. 자연수의 합을 구하는 공식(Σn=$\frac{n(n+1)}{2}$)을 아는 사람은 이 값을 ... ...
자연의 마법 피보나치수열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43이라는
숫자
가 소수인 까닭이다.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갖기 때문에 다른
숫자
와 겹칠 확률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모든 씨앗이 조금씩 어긋나게 배열되면 그만큼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피보나치수열로 빈틈없이 배열된 씨앗은 비바람에도 잘 견딜 수 있고 외부의 ... ...
강원도 발 지진파 주말 저녁을 흔들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달라진다. 지진을 감지한 지점에서 사람이 느끼는 진동과 시설물의 피해 정도를 로마
숫자
로 표시한 것이 진도다. 기상청이 발표한 각 지역별 진도는 강원도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 지역이 Ⅱ~Ⅳ로 직접적인 피해를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다.피해가 없었지만 지진파가 전국에서 감지 될 ... ...
자기폭풍 밝혀낼 다섯 쌍둥이 위성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건너와 여러 모로 개량되어 다시 유럽으로 전달되어 오늘날 우리들이 사용하는 아라비아
숫자
로 진화된 것이다 1859~ 1927 스웨덴의 물리화학자 17세 때 웁살라 대학에 입학하고 학위논문의 테마로 물리학을 택했으나 지도교수와 뜻이 맞지 않아 1881년 스톡홀름으로 옮겼다 그 곳에서 전해질용액 ... ...
한반도에도 큰 지진이 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한반도는 이웃나라 일본과 달리 지진 안전지대로 생각돼 왔다. 그러나 1월 20일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강릉시 서쪽 23km)에서 리이터 규모 4.8의 지진이 일어나면서 지진에 대한 ... 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리히터 규모 : 지진의 크기를 뜻하며 1~9까지 있다.
숫자
가 클수록 지진이 세다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