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난
사건
생각
사색
재해
재앙
난리
d라이브러리
"
사고
"(으)로 총 4,030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명령을 전파로 바꿔 상공 3만 6000km에 떠 있는 천리안에 쏘아 올린다.]인공위성 교통
사고
막는 법궤도 조정을 포기하면 인공위성은 어떻게 될까. 대부분의 인공위성이 지구로 떨어지면서 불타 없어진다. 다만 떨어지는 시간은 위성의 궤도에 따라 달라진다. 당연히 지구에 가까이 있던 위성일수록 ... ...
황사보다 위험한 에어로졸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초기에 전문가들은 방사성 물질이 한반도까지 오지 못한다고 예상했다. 강한 편서풍에 밀려 방사성 물질이 날아오지 못한다는 대기 모델을 바탕으로 예측한 결과였다. 하지만 최근 국내 곳곳에서 방사성 물질인 요오드, 세슘이 발견되고 있다.이런 방사성 물질이 어떤 경로로 ... ...
공장자동화의 추억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컴퓨터와 기계앞을 지켰다. 실패를 하고 마음앓이 하는 시간도 있었고, 가까스로
사고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수준까지 만들고는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기쁨을 느끼기도 했다. 박사과정에서도 한동안 공장자동화와 씨름을 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기반기술과 표준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지나치게 ... ...
Part 2. 모든 길은 화학으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모두 화학물질의 본질을 이해하고 부정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공동의 선을 위해 노력하는
사고
의 전환이 필요하다.끝으로 젊은이들이 화학을 젊음, 열정, 시간을 투자해 볼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인식해, 화학을 통해서 인류사회에 보탬이 되는 일을 할 수 있다는 꿈과 희망을 갖기를 바란다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오랜 연구가 이뤄졌다. 장기 연구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반감기가 긴 세슘-137이다.
사고
직후 평소의 수백~1000배 가까이 치솟았던 방사능 수치는 2000년대 들어서도 아직 수 배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우유나 고기(아래) 역시 초기보다는 많이 줄었지만 여전히 허용량 이상의 제품이 나오고 있다.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알릴 수 있다. 독도에 우뚝 설 종합해양과학기지의 이모저모를 알아본다. 지진과 원전
사고
로 사상최악의 재난을 맞은 일본에게 위로를 건넬 수 있는 시간은 ‘잠깐’이었다. 일본 문부과학성이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교과서 검정결과를 발표하자 두 나라의 관계는 또 다시 급속도로 냉각됐다. ... ...
유물로 떠나는 실크로드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부지런히 오고 가던 상인들을 통해서였어요. 훗날 사람들은 그들이 다니던 길을 비단을
사고
팔던 길이라 하여 ‘실크로드’라고 불렀답니다. 실크로드는 거친 비단길이다비단길이라는 예쁜 이름과 달리 실크로드는 ‘들어가면 나올 수 없는 곳’이라는 살벌한 뜻을 가진 ‘타클라마칸 사막’을 ... ...
슈퍼 스펀지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저의 가장 큰 역할은 뭐니뭐니해도 기름을 제거하는 거예요. 지난 멕시코만 석유 오염
사고
때도 저는 엄청난 능력을 발휘했지요. 지구를 깨끗하게 지키는 저의 활약 앞으로도 많이 기대해 주세요 ... ...
Part 3. 원전과 오토바이, 뭐가 더 위험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방출되면 그 양에 따라 돌이킬 수 없는 생태계 파괴를 유발할 수 있다. 체르노빌의 경우
사고
뒤 30년이 훌쩍 지났지만 아직도 반경 30km 안에는 사람이 사는 것은 물론이고 외지인의 통행도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다. 200명 가량의 일부 극소수의 노인만이 고향 마을을 떠나기 싫어 20km가량 떨어진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물리학의 오랜 문제였다.]나노 세계에선 양자역학이 필수최근 나노기술의 진보는
사고
실험으로 출발했던 질라드 엔진을 실제 구현 가능한 대상으로 만들었다. 2007년 영국 에딘버러대 연구팀은 ‘로택산’이라는 고분자의 분자구조 변환에 대해 연구했다. 연구팀은 로택산의 일부 분자에 레이저를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