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3D TV 아직도 안경 끼고 보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영상을 보게 된다”고 설명했다.예를 들어 3D TV로 사람의 얼굴을 보다가 얼굴의 측면을
보기
위해 고개를 돌리는 상황을 가정해보면, 처음에 돌린 각도가 작을 때는 얼굴의 측면이 보이지만 일정 각도를 넘는 순간 갑자기 얼굴이 온전하지 않게 보인다. 이는 해당 각도만큼 몸을 움직여서 본 실제 ... ...
[culture] 한여름 기운 되찾아주는 패류의 왕 전복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모습을 보면 역시 조개보다는 고둥을 닮았다.전복 껍데기도 고둥 껍데기와 비슷하다.
보기
엔 납작하게 생겼지만 자세히 보면 고둥 껍데기처럼 나선형을 이룬다. 한쪽 귀퉁이에 있는 나선형 꼭대기(각정)가 위로 쭉 솟아 있다면 고둥 껍데기와 비슷했을 것이다. 결국 전복은 ‘껍데기가 납작한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같이 10개씩 될 때마다 묶어서 더 큰 돌멩이로 대체할 때 10을 기본수라고 한다. 지금
보기
에는 불편해 보이지만 고대 수메르인과 그들의 문화를 이어받은 바빌로니아인이 기본수로 60을 택한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60은 약수가 많아서 나눗셈이 편하다는 ... ...
반짝 반짝 빛이 그린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연못은 위에서, 나무와 물고기는 옆에서 본 모습으로 그려져 있어요.이 그림은 우리가
보기
엔 이상하지만, 당시 사람들에게는 이상하지 않았어요. 눈은 이렇게, 물고기는 저렇게 그려야 한다는 규칙이 있어서 그대로 그려진 것뿐이거든요. 그런데 이 그림을 보다 보면 20세기의 유명한 화가 피카소의 ... ...
올록볼록 공간도형의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느낌이 들 것이다. 공간도형을 영어로 어떻게 부르는지 알아보면서 그 기원을 추적해
보기
로 하자. 먼저 영어로 space figure라 부르는 공간도형의 대표적인 형태를 들면 다음과 같다. cube라고 하는 정육면체는 정사각형인 면 6개가 모여 이룬 정다면체다. cube는 초기 인도-유럽 계열의 단어인 keub에서 ... ...
학습계획서 작성하기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유가 더욱 확실해질 것이다. 봉사 및 체험 활동은 21세기형 리더에게 필요한 덕목을
보기
위해 자기주도학습 전형과 입학사정관제에서 기본적으로 평가하는 항목이다. 봉사활동과 함께 수학, 과학탐구 등 체험활동을 하고 느낀 점을 작성하도록 한다.독서 경험은 초중교에서 독서 이력과 이를 통해 ... ...
도형이 제일 쉬웠어요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않아도 수학을 잘 알고 있어요. 민들레는 줄기가 없이 잎이 땅에 딱 붙어서 나요. 그냥
보기
에는 삐죽빼죽 난 잎 같지만 실제로는 놀라운 도형을 그려 내고 있답니다. 잎이 난 순서대로 3장의 잎이 정확하게 이등변삼각형을 이루고 있다는 거죠.아직 놀라긴 일러요. 하나의 잎을 기준점 0으로 두고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안팎을 떠도는 오랜 관념과 편견에 대한 통렬한 풍자를 날린다.이렇게 만들어진 기사를
보기
위해 현재 하루에 1500명이 ‘사이언스온’을 찾아오고 있다. 문을 연 지 한 달 만에 인터넷 포털 다음의 검색 순위에서는 인터넷 과학 매체인 ‘사이언스타임즈’와 ‘대덕넷’을 앞질렀다.문제는 지식이 ... ...
인간처럼 영리하고 현명한 동물의 생존법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움켜쥐고 높이높이 날아오른다. 당황한 거북은 처음 만나는 놀라운 광경을 좀 더
보기
위해서인지 고개를 바깥으로 내민다. 그 순간 독수리는 거북을 땅으로 내동댕이치고, 거북은 바위에 부딪혀 박살이 난다.심해의 사냥꾼 아귀는 문어를 ‘오늘의 식사 메뉴’로 정했다. 하지만 문어에게 다가가는 ... ...
나만의 발명 어떻게 지킬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 정도 세월이 흐르는 동안 처음 기술을 공개한 기술자에게 충분한 보상이 이뤄졌다고
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특허가 출원된 지 20년이 훨씬 넘은 이태리타올과 종이컵은 지금은 누구나 마음껏 사용할 수 있다.그런데 희한하게도 똑같은 기술을 서로 다른 사람이 동시에 개발한 경우가 있다.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