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몸"(으)로 총 7,520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지사탐 봄 현장교육 꿀벌이 윙윙, 각시붕어가 펄떡!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돌마자’를 볼 수 있었어요. 가슴에 하얀 줄이 있는 ‘흰줄납줄개’와 모래 속에 몸을 쏙 숨기는 ‘모래무지’를 찾는 재미도 쏠쏠했지요.➊ 이틀에 걸쳐 100여 마리가 넘는 민물고기를 잡고 관찰했다.각자 잡은 민물고기는 관찰 후 물로 돌려보냈다.➋ 가슴 장화를 입고 가족과 함께 족대로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결국 혈관 내피세포도 손상돼 회복이 어렵다. 신장, 혈압 차로 찌꺼기 걸러 신장은 몸속에서 더 이상 필요 없는 찌꺼기만 걸러내 소변으로 내보낸다. 거름주머니 역할을 하는 사구체에는 모세혈관이 실 뭉치처럼 엉켜 있는데, 사구체로 들어가는 입구(동맥)보다 사구체에서 나오는 출구(정맥)가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수 있었다(선택이 작용하는 단위가 개체라고 잠시 가정한다). 바로 이런 의미에서 추우면 몸을 덜덜 떠는 사람을 도킨스는 ‘이기적’이라고 비유했다. 사실 자연 선택의 단위는 정의상 ‘이기적’(다음 세대에 후손을 많이 남기는 특성)이므로 이 은유는 싱겁게 들리기까지 한다. 이제 왜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다가온 위기!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비밀결사대 사이가 텅 비고 말았다. 경비로봇이 공격을 시작했고, 비밀결사대도 몸을 가릴 곳을 찾아 뛰며 반격했다.치열한 총격전이 펼쳐졌다. 어쩌다 보니 꼴찌로 오른쪽 복도를 향해 접어들던 하림이 무심코 뒤를 돌아보았다. 비밀결사대 한 명이 쓰러지는 모습도 보였다. 맞은편에서 경비로봇 한 ... ...
- [과학뉴스] 플라밍고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조류입니다. 키 110~150cm, 몸무게 2~4kg으로 홍학 중에서 가장 큽니다. 홍학은 말 그대로 몸빛깔이 붉고, 학과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깃털 색은 밝은 붉은색에서 엷은 분홍색까지 다양하고, 날개 끝이 검습니다. 홍학은 원래 열대나 아열대 지방의 짠물 습지에서 삽니다. 그런데 올해 8월 25일, 윤순영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북적댄다. 어디 이뿐인가. 전세계 도시들은 하늘로, 지하로, 그리고 옆으로 자꾸만 몸집을 키우고 있고, 인류는 그 혜택을 누리고 있다. 첨단 과학기술이 거대 도시를 떠받치고 있기 때문이다. 물리학자이자 작가인 저자가 도시의 작동 원리를 파헤친 책을 내놨다. 전세계 여러 대학을 비롯해 영국 ... ...
- [매스미디어] 레고 닌자고 무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거미 점프에도 비슷한 힘이 작용해. 먼저 수직인 두 벽 사이에서 폴짝 뛰어 손과 발로 몸을 지탱해야 해. 그리고 손과 발을 번갈아 가면서 거미처럼 위로 올라갈 수 있지. 떨어지지 않으려면 벽을 세게 밀어 마찰력을 강하게 만들어야 해. 임진왜란에 닌자가 나타났다!자, 우리 닌자의 수학적 비법은 ... ...
- Part 3. 미세 플라스틱 사람에게 돌아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남아요.이렇게 먹이 사슬을 반복하다 보면 먹이사슬의 상위 단계에 있는 큰 어류의 몸에는 점점 더 많은 미세 플라스틱이 쌓여요. 그리고 이런 어류를 먹는 사람은 고스란히 높은 농도의 미세 플라스틱을 먹게 되는 거랍니다.플라스틱이 바다에 가라앉는다고?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은 물 위에 뜬다고 ... ...
- [과학뉴스] 다친 친구를 구조하는 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평균 3마리의 부상자가 집으로 옮겨지는 것을 확인했지요. 이들은 다리를 잃거나 몸에 흰 개미가 붙어 있는 상태였어요. 다친 개미들은 아래턱에 있는 샘에서 구조를 요청하는 특별한 페로몬을 분비했어요.연구팀은 부상당한 개미를 아크릴 물감으로 표시해 관찰했어요. 그 결과 다친 개미들 중 95%가 ... ...
- [가상인터뷰] 산소가 없어도 18분간 사는 벌거숭이두더지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입지 않고 회복됐답니다.어떻게 그게 가능한 거니?연구팀은 산소가 희박할 때 우리 몸의 혈액에 많은 양의 ●과당이 방출된다는 것을 알아냈어요. 산소가 많을 때는 사람처럼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쓰지만, 산소가 부족해지면 뇌에서 과당을 분해해 산소가 없어도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거예요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