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모
범위
한계
스케일
d라이브러리
"
넓은
"(으)로 총 2,1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선명 텔레비전(HDTV)에는 필수적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UHF가 한채널 당 6㎒의 폭을 가지는데 비해 SHF는 27㎒의 폭을 가진다. 한채널의 주파수폭이
넓은
장점은 현행 TV보다는 21세기 TV로 불리는 고선명TV(HDTV)에서 더욱 빛을 낼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HDTV는 화면 대각선 주사선수가 현행 5백25개에서 두배로 늘며 수평 방향의 화소밀도도 두배 이상 ... ...
맨발로 지내는 것이 최상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할머니와 중년 부인에게서 꽤 나타난다. 이 경우에는 좀 보기 흉하나 굽이 낮고 폭이
넓은
, 발이 편한 부드러운 신발을 착용해야 하며 심하면 수술을 받아야 한다.발에 맞는 신발을 신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발에 맞는 신발을 구하기가 그리 쉽지 않다. 구두점에서 보면 신발의 크기가 주로 길이를 ... ...
1. 1천m이상 「수직도시」구상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건물에 가해질 엄청난 크기의 횡력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도심의 서너블록을 차지할 만큼
넓은
부지가 필요하다. 또한 삼각형으로 묶여진 각 튜브는 건물이 높아짐에 따라 높이가 달라지면서 단계적으로 끝나며 하나만이 정상부 높이까지 그대로 계속되는 시스템으로 시어즈 타워 모듈과 비슷한 ... ...
4. 「타워링」의 비극이 현실화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안겨주었다.사람들은 본능적으로 높은 자리를 좋아하며 높은 데서 자기주위 환경의
넓은
경관을 한 눈에 바라보기를 원한다. 아테네도 시가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아크로폴리스 언덕이 있고 몽블랑 언덕에서 사람들이 파리시를 훤히 내려다보는 즐거움 때문에 사람들은 활기가 있다.뉴욕에서 ... ...
(1) 3백85㎏의 월석이 밝혀준 사실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함은 지구와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물이 괴어있는 곳이 아니라 용암이 흘러나와 굳은
넓은
평원일 따름이다. 지구에서 관측할 때 이 부분은 어둡게 보이기 때문에 '바다'라고 불린다. 이 바다속에는 직경이 수m에서 2백km에 달하는 크레이터(분화구)들이 포진하고 있다.이 분화구도 지구의 것과는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성격에서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그에 비해 동양에는 비밀이라는 것이 거의 없다.
넓은
들판에서 서로 사이좋게 농사를 짓고 음식을 나눠 먹었기 때문에 어떤 기술이 개발되면 거리낌없이 서로 비밀을 털어 놓고 사방으로 전하게 된다. 그래서 동양에서는 별다른 비밀이 없었고 특허라는 제도도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일이 일어났다. 예를 들어 오늘날의 포천 부근에서 하천을 따라 하류인 백의리에 이르는
넓은
계곡은 한때 거대한 호수를 이루고 있었다. 이 밖에도 크고 작은 호수가 오늘날의 용암대지의 주변부에 형성됐다. 늦게 시작된 임진강의 구석기시대임진강 유역에 구석기를 남긴 고인류는 용암분출로 ... ...
「퍼지-뉴런」칩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퍼지이론과 뇌의 신경세포(뉴런)의 움직임을 모방한 뉴런기술을 결합시키는 연구는 폭
넓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야마카와 교수는 신경세포 모델의 데이터처리에 퍼지이론을 채택했다. '중간 정도'라든가 '약간 약하다' 등의 애매한 양을 최적으로 판단해 그 결과를 순식간에 끌어 내는 방법을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천연화학 물질을 창출하는 등 그 개발의 여지가 무궁무진하다. 따라서 깊고 엄청나게
넓은
바다에 어떠한 생물이 사는지 알아 내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바닷속 가장 깊은 곳에서 특수한 생활 방식을 가지고 살아가는 생물이나 미생물을 활용하는 방법도 제시되고 있다. 비생물자원으로는 석유 ... ...
1%만 절약하면 제주도에서 2년 쓴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있다. 초고압 또는 직류송전에 의해 손실률을 줄이는 기술은 이미 국토면적이
넓은
나라에서는 장거리 송전에 부분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이나 일본과 같은 기술선진국에서는 손실을 근원적으로 줄이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송전기술이 적극적으로 연구되고 있다.즉 송전선으로 사용되는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