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가 감염병 역학조사관이 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깊은 지식을 미리 얻을 수 있었다. 대학별 본고사 과학 시험과 수능 시험을 볼 때, 상당수 내용은 이미 과학동아를 통해 얻은 지식이었다. 그리고 지금은 과학동아와 과학에 대한 관심을 함께 나누는 친구처럼 지낸다. 의사도 기본은 과학자여야 한다고 늘 생각하기 때문이다 ... ...
- [일본유학일기] 국가대표급 동아리에 뛰어든 용감한 한인 유학생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술술읽혀요 | 나의 일본 유학 일기 일본 대학의 동아리 활동은 크게 ‘서클’ 활동과 ‘부’ 활동으로 나뉜다. 서클은 관심사가 같은 학생들이 모여 가볍게 취미 활동을 ... 은퇴해서 내 공학기술이 쓸모가 없어졌을 때, 음악으로라도 주변 사람들을 즐겁게 만드는 것이 내 목표다 ... ...
- [이달의 책] ‘거의’ 모든 것의 이론을 만든 물리학자의 애틋한 인사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몇 마리가 독식하는 보통의 공룡영화가 지루해진 독자들에게 권한다. ● 불안함을 떨쳐내는 법‘나를 대하는 태도가 삶의 방향을 결정한다.’ 자기계발서에 나올법한 이야기를 저자는 뇌의 관점에서 말한다. 우리가 느끼는 감정을 뇌 훈련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감정에 따라 ... ...
- [핵배송 비결3] 최고의 배송 경로를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4호
- 계산하세요! 지도에서 가장 짧은 경로라고 해도 교통 상황이 나쁘거나 스‘ 타필드 내 영업점’처럼 찾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배송지가 포함돼 있으면 ‘최적 경로’라고 할 수 없습니다. 물론 어렵겠죠. 경로를 찾는 문제는 조합 최적화 분야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로, 프로 수학러인 저, ... ...
- 한국수학교육학회장 박만구 교수 "수학교육의 목표는 깊고 넓게 세상을 이해하게 하는 것"수학동아 l2020년 04호
- 공부해나갈 수 있도록 선생님들이 도왔으면 좋겠어요. 그러려면 예비교사를 길러내는 대학도 바뀌어야 해요. 학생들은 자신이 대학에서 수업받은 대로 현장에 나가 가르칠 테니까 수학교육의 변화를 일으키려면 교수님들부터 변해야 해요. 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수법 등의 역량도 기를 수 ... ...
- [화장실의 변신 ②] 물을 적게 쓰는 변기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변비로 오래 고생하다보니, 시원~하게 내려가는 변기는 필수야. 그런데 뭐?! 한 번 물을 내릴 때마다 10L?! 하루에 다섯 번쯤 화장실을 가니까 50L를 쓰고 있는 거네…. 물 사용량을 ... 하수도까지 빠져나갈 수 있다. 적은 양의 물로는 사이펀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배설물이 내려갈 수 없다 ... ...
- 8첩 곤충 반상, 밥상 위로 올라온 곤충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인간의 입속으로 들어가기 위해 거쳐야하는 최종 관문은 체내에 있는 노폐물을 빼내고, 세척 및 멸균 과정을 거쳐 건조시키는 것이다. 건조 과정에는 열풍건조, 마이크로파건조, 그리고 동결건조 등 일반적으로 3가지 방식이 사용된다. 실험실에서는 모양과 색에 변화가 거의 없는 동결건조를 ... ...
- 전기자동차 배터리 엔지니어 “싫은 일부터 하나씩 지워보세요”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동료 중 한 명은 지금 가구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답니다. Q4 지금의 내가 중학생인 내게 하고 싶은 말은? ‘대학 입학이 끝이 아니다. 대학 입학 이후가 진짜 시작이다.’ 학창시절에는 좋은 대학 가는 걸 목표로 삼는 경우가 많잖아요. 저도 그랬고요. 그런데 막상 대학에 입학하면 그때부터가 진짜 ... ...
- [미국유학일기] 대학 생활의 꽃, 동아리? 일이 더블이 되는 거야~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시스템이 잘 돼 있다. 기숙사별로 한 학기에 한 번씩 짧은 여행을 가기도 한다. 한 예로 내가 소속된 에이버리 기숙사는 캠핑 여행, 스키 여행, 해변 여행 등을 다녀왔다. 여행에선 수업, 시험, 과제를 모두 잊고 친구들과 실컷 떠들고 논다.동아리 활동은 분명 유익하고 지나고 보면 추억도 많이 ... ...
- [지구사랑탐사대] 어과동 키즈, 지사탐 어벤저스 되다! 스파이더맨 이형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의미예요. 2016년, 진도 해안가에서 신종 ‘진도어리왕거미’를 처음 만났어요. 내가 전 세계 최초로 이 거미를 발견했다고 생각하니 정말 성취감이 컸죠. 이름도 저와 김주필 교수님이 함께 지었어요. 거미는 모든 종마다 생식기가 다르게 생겼어요. 그래서 다른 종과의 차이점을 집중 분석해 김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