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깊음
길이
강도
농도
농담
심도
d라이브러리
"
깊이
"(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농업기상학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하였다. 또 한강변의 암석 위에 자ㆍ치ㆍ푼을 새긴 표(標)를 세워 도승(渡丞)이 물의
깊이
를 재서 본조에 알려 보고하게 하고…"15세기 전반기에 쓰여진 이 글은 수표의 발명과 그 구조 및 설치, 측정에 대한 첫 기사이다.나무기둥에 눈금을 새겨 세워 놓은 청계천 세종 때의 수표는 그 후 돌기둥으로 ... ...
서울과학고등학교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있으나 토론식으로 수업을 하다보면 새롭게 개념을 정립하는 때도 있을 만큼 교육내용에
깊이
가 있다"고 말했다.일반 고등학교의 경우 교사수가 한 학급당 2명 정도이나 과학고는 3.5명 수준, 시설 또한 아직 정식 교사(校舍)가 지어지지 않았으나 일반 학교보다 월등히 낫다. 단적인 예로 도서관에 ... ...
공간을 넘어 우주로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물질과는 절대로 상호작용을 하지않는 물질로 가정하는 것이다. 그러면 이 물질들이
깊이
를 알 수 없을 정도로 밀도가 높다고 할지라도, 여행자들은 어떤 물질이 있다는 느낌없이 웜홀안의 외래물질을 통과해 갈 수 있는 것이다.이 모든것은 어쩌면 환상적이고 임시방편적으로 들릴 것이다. 아직도 ... ...
측우기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것보다 조금 줄었다. 특히
깊이
가 직경에 비해서 많이 줄었다. 한번에 내리는 강우량이
깊이
32㎝, 직경 15㎝ 정도의 원통이면 충분하다고 판단했을 것이다.다음으로는 측정방법을 명백하게 규정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첫째 강우량은 비가 그쳤을 때 잰다. 둘째 자는 주척(길이 약 21.3㎝)을 쓴다.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가리키는 지점에서 약 3m 두께의 부석부석한 응회암층이 발견됐는데, 지표에서 약 2m 정도
깊이
에서 가로 10㎝, 세로 6㎝정도 되는 얼음덩이들이 5개나 박혀 있었다. 이때 바깥 기온은 15℃였다. 백두산 기슭의 얼음덩이들은 얼음인 상태로 금년 여름을 지낼 만년빙(萬年氷)인 듯하다.백두산 기상대를 ... ...
체질에 맞는 음식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싫어한다. 성질이 급하고 욕심이 적은 반면 침착하지 못하고 오락을 하는데 있어서도
깊이
생각하는 놀이는 별 소질이 없다.이러한 체질은 열이 많은 관계로 항상 냉수를 마시는 경향이 있고 빙과류를 많이 먹어도 여간해서 배탈이 나지 않는다. 이러한 체질에 적합한 음식은 육류로 돼지고기, ... ...
바람의 과학 그 천태만상의 해부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분리하여 생각하자. 첫째로 잔의 중심에 대하여 수평으로 회전하는 흐름은 대부분의
깊이
에서는 일정하다. 그런데 잔의 밑바닥에서는 급격히 약해진다. 이는 물의 점성에 의해 잔바닥과 마찰이 작용하여 잔 바닥에서는 유속이 0이 되기 때문이다. 특이하게도 유속이 물의 표면에서부터 조금씩 ... ...
자유로이 에너지형태 바꾸는 현대판 부싯돌 압전 세라믹스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표적과의 거리는 1천5백m임을 알 수 있다.이러한 소나는 군사목적 외에도 바다의
깊이
나 어군을 탐지하는데 쓰인다. 이 수중 소나중 스캐닝 소나(Scanning Sonar)가 최근 많이 실용화되고 있는데 이는 전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사, 3백60˚범위의 표적의 방향 거리 이동상황 등을 탐지하는 것이다.이때 큰 ... ...
펭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그러나 이 노로 헤어칠 때의 속도는 시속 40km에 달한다. 때로는 먹이를 찾아서 수백미터
깊이
까지 잠수하기도 하고 수면위로 2~3m까지 뛰어오르기도 한다.펭귄은 1년의 대부분을 대양의 한가운데서 지내고 번식기가 되면 육지로 올라온다. 1년에 단 한번 새끼를 낳아 키우기 위해 펭귄은 ... ...
유체역학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점점
깊이
들어간다 하더라도 돌의 무게는 같다. 그리고 부피도 변하지 않으므로 부력도
깊이
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8. (2)얼음덩이 A에 있는 기포는 얼음덩이의 무게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므로 얼음이 차지한 부피의 물의 무게에도 변화가 없다. 얼음 B의 경우도 얼음이 차지한 부피의 물의 무게에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