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조"(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전극에 심은 나무, 수소에너지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2n배 만큼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전력은 기존의 10%대로 낮췄다. 특이한 이온결정 구조 덕분이다. 장 교수는 “백문이 불여일견”이라며 영상 하나를 보여줬다. 영상 속에는 팔면체의 화학물질이 규칙적으로 배열돼 있었고, 그 사이사이에는 작은 분자가 들어있었다. 영상이 시작되자 작은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겁니다. 빨간 바일은 바일물질의 껍질로 이동하고, 껍질에 존재하는 ‘페르미 호’라는 구조를 통해 파란 바일의 우주로 이동한 뒤, 파란색 여권을 발급받아 파란 바일 세계에 정착합니다. 즉 파란 바일이 되는 거죠. 껍질에 비밀통로가 존재하는 줄 모르고 있던 빨간 바일 왕국은 국민의 숫자가 ...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부른다.예를 들어 보자. 경기민요의 하나인 ‘뱃노래’에서 “어기야, 디어차”의 선율 구조는 노를 젓는, 즉 팔을 앞으로 밀었다가 안으로 잡아당기는 동작과 어울린다. 노동요는 이름에 걸맞게, 높은 강도의 힘이 필요할 때 음정이 높아지고 장단은 길어지며 크기가 커지는 특징이 있다. 또 다른 ... ...
- [과학뉴스] 우주선 폭발 막는 광섬유 신경망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연구진이 항공우주 구조물에 쓰는 복합재료의 내부손상을 정확히 알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권일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안전측정센터 책임연구원은 ‘광섬유 감지 신경망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컴포지트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온라인판 2월 28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복합재료 ... ...
- [Future] 기억의 우주에서 불멸이 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쥐의 해마 부위에 ‘해마칩’이라고 이름 지은 소형 마이크로칩을 이식했다. 해마의 구조를 똑같이 모방한 칩으로, 손상된 부위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신경세포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했다. 해마의 손상된 부위를 우회하는 새로운 연결 통로를 만든 것이다. 해마 칩은 앞부분의 신경세포로부터 신경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활성화되는 식이다(123쪽 그림).전략 3 방향과 경계, 속도를 인지한다위치와 그곳의 구조를 파악했다. 하지만 내비게이션이라 하기에는 아직 부족하다. 어떻게 그곳에 도달할지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기능커넥토믹스연구단 세바스찬 로얄 책임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위상숫자’의 보호를 받는다. 절연체의 3차원 파동벡터 공간으로 다시 돌아와서 전자구조를 잘 살펴보면, 어떤 위상숫자를 하나 발견하게 된다. 이 숫자가 짝수면 그 절연체의 표면은 평범하다. 만약 홀수면 그 표면에는 디랙 입자가 ‘반드시’ 존재해야만 한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e메일 인터뷰에서 “건강한 장내미생물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충수와 면역체계, 장의 구조, 조직의 주름 등 많은 것들이 관여하고 있다”고 말했다.충수가 병의 재발을 막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미국 윈스럽대학병원 소화기내과의 제임스 그렌델 박사팀은 장염을 일으키는 클로스트리듐 ...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안경을 걸치게끔 자연 선택에 의해 진화된 적응일까. 물론 그렇지 않다. 코의 해부학적 구조를 찬찬히 살펴보면, 코는 호흡을 하게끔 설계됐지 안경을 걸치게끔 설계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코가 안경을 지지해주는 이득이 아무리 크더라도 이는 우발적인 효과일 따름이다.마찬가지로, 세렝게티 ... ...
- [과학뉴스] ‘마이크로 물방울’로 엽록소 반응 관찰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과정에서 엽록소가 빛을 흡수하는 반응은 엽록체 내 ‘그라나’라는 아주 작은 구조에서 이뤄진다. 이처럼 작은 공간에서 이뤄지는 엽록소의 생화학 반응을 국내 연구진이 μm(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 크기의 물방울을 이용해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남홍길 기초과학연구원(IBS) 식물 노화·수명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