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촉각을 전달하는 가상 피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TV 속 강아지를 만질 수 있는 방법이 생겼어요. 지난 11월 21일,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연구팀이 촉감을 전달할 수 있는 시트 형태의 ‘가상현실(VR) 피부’를 발표했거든요. 실제 피부 위에 붙여 사용하면 돼요.VR 피부는 가로와 세로 길이가 15cm의 실리콘 시트로, 그 속에는 지름 18mm, 두께 2.5mm인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생물이야, 로봇이야? 생체모방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위를 겅중겅중 잘 걸어 다니는 플리플랙거미를 본뜬 바이오닉 휠봇도 2018년 독일에서 개발됐답니다.‘4M 스파이더 로봇’도 8개의 다리, 몸과 연결되어 있는 줄이 거미를 닮았어요. 자연에서 거미는 다리와 발의 빽빽한 털 덕분에 수직 벽이나 천장에서도 미끄러지지 않고 자유자재로 다녀요. 미세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탱글탱글 톡톡! 먹는 물병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공동연구팀은 우주에서 3D 프린터를 이용해 피부와 뼈를 출력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우주 환경에서 3D 프린터를 사용하기 위해 인간의 혈장을 포함한 바이오잉크에 끈끈한 정도인 점도를 높일 수 있는 메틸셀룰로스와 알긴산을 첨가했어요. 메틸셀룰로스와 알긴산은 ... ...
- 보이저…미래의 운명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어과동 친구들에게 한 마디 부탁드려요!NASA에서는 우주 분야는 물론, 관측 장비와 로켓 개발, 미세먼지 같은 지구 환경 등 굉장히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한답니다. 꼭 천문학을 공부해야 하는 건 아니니, 여러분이 좋아하는 과학 분야를 공부하다 보면 NASA에서 일할 기회가 올지도 몰라요 ... ...
- 똥 사진을 찍으라고? 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똥 사진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사람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앱인 ‘어기(auggi)’를 개발하고 있어요. 똥 사진을 인공지능을 통해 브리스톨 척도로 나눈 뒤, 똥으로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걸 돕겠다는 계획이죠. 인공지능이 똥을 정확하게 구분하려면 10만 장 이상의 똥 사진을 보고 그 모양을 ... ...
- [통합과학교과서] 늑대의 반성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마인즈의 수익 중 40%는 세이프 인 아워 월드에 기부해 정신 질환 치유를 위한 게임 개발을 돕기로 했지요. 에밀리 미첼은 플레이스테이션에 기고한 글을 통해 “프랙처드 마인즈 게임을 하면서 세이프 인 아워 월드를 지원하는 건 불안해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이 혼자가 아니라는 걸 알려주는 ... ...
- 지렁이를 사랑한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개인적으로 일산에 지렁이농업연구소를 차리고 농사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요. 작년부터는 대산농촌재단으로부터 연구비를 받아 밭에 지렁이를 효과적으로 이식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답니다. Q 어과동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사람들이 사실 평소에는 지렁이에 별로 ... ...
- [통합과학교과서] 해님 달님, 늑대의 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해요. 광전효과 이론은 아인슈타인에게 노벨상을 안겨주고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토대가 됐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태양전지, 해바라기가 되다! 해바라기는 해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질 때까지 줄기와 잎이 햇빛을 따라 움직이는 식물이에요. ... ...
- 자율주행차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고안한 사고 실험이에요. ‘트롤리 문제*’로 잘 알려졌죠. 이 문제는 자율주행차를 처음 개발하면서부터 논의되고 있는 대표적인 윤리 문제예요. 인간도 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자율주행차는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요? 이에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하버드대학교, 캐나다 ... ...
- 우주의학 연구에 여성을 빼먹지 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사람일 뿐이라고 생각했거든요. 이후로 사람을 중심에 두고, 사람을 이롭게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싶다고 생각해서 걸음 연구를 계속했어요. 우주인도 결국 사람이니까 여기까지 오게 됐지요. NASA에서 열심히 공부해 한국 어린이들에게도 우주기술을 알려주고 싶어요. 제 조카들도 어과동 독자인데,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