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뉴스
"
생명
"(으)로 총 7,221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2022] "받을 사람이 받았다"...인류건강과 혁신기술 '씨' 뿌린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진화인류학연구소장이 받았다. 인류학자가 노벨상을 받은 것은 처음이다. 정충원 서울대
생명
과학부 교수는 “인류학에서 노벨상을 받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못했다”며 “진화인류학이나 고유전체학 등 관련 최근 연구들이 현생 인류의 건강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정받은 듯하다”고 말했다. ... ...
"동물실험 대체 대안 될 수 있는 장기칩, 안전성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2010년 사람의 폐 기능을 재현한 장기칩 개발에 성공한 도날드 인그버 미국 하버드대
생명
공학과 교수가 2013년 설립한 기업으로 장기칩 분야에서 기술력이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받는다. 로나 이워트 에뮬레이트 최고과학책임자(CSO). 에뮬레이트 제공 '장기칩(Organ-on-a-chip)'은 전자회로가 놓인 칩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염증성 장 질환 진단 및 회복 핵심효소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김세윤, 양한슬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김세윤·양한슬
생명
과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염증으로 손상된 대장 조직 회복의 필수 인자인 핵심 효소를 발굴하고 외부로부터 면역기능을 제공한다고 알려진 ‘솔세포’ 발생을 조절한다는 점을 규명했다고 6일 밝혔다. 염증성 장 질환의 진단과 ... ...
[의과학용어의 조건] ② "노년층은 외래어에, 청년층은 한자어에 취약"
2022.10.06
쓰이는 용어라면 불편함을 겪는 것에 그치겠지만 감염병 사태 등 재난재해 상황에서는
생명
과 직결되는 문제로 이어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은 변이에 변이를 겪으며 아직도 위협적이고 원숭이두창과 같은 또 다른 감염병이 등장했다. 과학자들은 미래에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찰칵' 하면 결합하는 '클릭화학'...신약 개발 '주춧돌'
2022.10.06
이 클릭 화학은 많은 전문가들에 의해서 노벨화학상 수상이 예측되어온 분야이다. 특히
생명
현상 연구에 새로운 시대를 여는 데에 커다란 공헌을 했기 때문이다. 올해 노벨화학상을 수상하신 배리 샤플리스 교수는 2001년에도 비대칭 촉매반응 (chirally catalysed oxidation reaction)으로 노벨 화학상을 ... ...
[노벨상 2022] 암 표적 찾는 신약에 기여...'클릭화학' 연구자 3인 화학상(종합)
2022.10.05
교수는 "일반적인 화학 반응은 실험실에서 구현한 특정 환경에서만 선택적으로 일어나
생명
체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웠는데 생체 분자가 많은 세포 환경에서도 촉매 없이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방법을 찾아낸 것"이라고 말했다. 2022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캐럴린 버토지(55) 미국 스탠포드대 ... ...
[생중계] 2022 노벨화학상 수상자 발표(오후 6시 45분)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바꾸는 촉매반응의 발견과 미래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49746 [2020년 화학상]
생명
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종합)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40448 노벨 화학상 수상한 50대 여성 화학자들, 그들은 누구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40452 [과학자가 ... ...
[의과학용어의 조건] ① "용어에는 실마리가 있어야 한다"
2022.10.05
경희대 의대 생화학분자생물학교실 교수(경희의과학연구원장)는 “구연산이라는 용어는
생명
공학 분야 기본 단어임에도 잘 와 닿지 않는다”며 “레몬산이라고 하면 접근이 훨씬 쉬워진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용어 순화 작업을 하는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용어위원회에 참여해보니 ... ...
화학자처럼 생각하고 화학반응 예측하는 AI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4
제공 KAIST는 정유성
생명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화학자처럼 생각하고 유기 화학반응을 정확히 예측하는 인공지능(AI)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화학자는 반응물을 보고 유기 화학 반응의 결과를 예상해 약물이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같이 원하는 물성을 갖는 분자를 합성한다. 하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7권),《
생명
과학의 기원을 찾아서》가 있다. 번역서로는 《반물질》, 《가슴이야기》, 《프루프: 술의 과학》을 썼다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